가사 ()

목차
관련 정보
의생활
물품
장삼 위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입는 승려의 법의(法衣).
목차
정의
장삼 위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입는 승려의 법의(法衣).
내용

종파와 법계에 따라 그 색과 형태에 엄격한 규정이 있다. 가사는 범어(梵語)인 ‘카사야(Kasaya)’에서 음을 딴 것으로, 괴색(壞色)·부정색(不正色)·탁색(濁色)·탁염색(濁染色)·염색 등으로 번역된다.

색에 의한 명칭으로는 염의(染衣)·염색의·부정색의·괴색의·탁적의(濁赤衣)·황갈색의 등이 있다. 용도에 따라서는 삼의(三衣)·승의(僧衣)·비구의(比丘衣)라 하며, 공덕의 측면을 강조하여서 법복·법의·불의·공덕의라고도 한다.

인도에서는 사계절의 평상복으로 착용하였는데, 중국에 전래되면서 불교의식 및 법회 때 편삼 위에 걸치는 의식복으로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 중엽에 흑장삼(黑長衫)과 붉은 가사가 전래되어, 전통적인 바지·저고리 위에 착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또, 『삼국유사』의 원종흥법조(原宗興法條)에는 ‘피방포(被方袍)’라는 가사가 보이며, 자장(慈藏)이 계율을 확립하고 난 뒤부터 수행 및 법계의 차이에 따라서 다른 가사를 입게 되었다고 한다.

『고려도경(高麗圖經)』에는 승복에 대한 것이 자세히 실려 있는데, 국사는 능직(綾織) 비단 위에 꽃무늬를 수놓은 산수납가사(山水衲袈裟)를 입었다. 또 삼중화상(三重和尙)은 자황색으로 몸에 꼭 맞게 만든 복전가사(福田袈裟)를 입는다고 하였다.

복전가사란 길고 짧은 방형의 조각을 이어서 전답(田沓)모양을 상징하는 복전의(福田衣: 복밭의 옷)라는 뜻이다. 그리고 아사리대덕(阿闍梨大德)은 5조(條)가사를 입었으며, 사미와 재가화상(在家和尙)은 가사를 입지 않았다.

현대의 승의착복규(僧衣着服規)에 의하면 입산수도 초학자가 스승을 정하여 오계(五戒)와 십계를 받으면 마니가사(摩尼袈裟: 조수가 없이 하나로 된 베가사)를 입게 되고, 사미계(沙彌戒)를 받으면 오조가사(五條袈裟)를 입는다.

비구니가 비구니계를 받으면 하품 2장 1단 9조·7조·5조 가사를 입으며, 비구가 이백 오십 계를 받으면 중품 3장 1단 15조·17조·19조 가사를 입는다. 종정(宗正) 및 대종사(大宗師)는 상품 4장 1단 21조·23조·25조 가사를 입는다.

가사는 삼의(三衣)인 승가리(僧伽梨, sanghati)·울다라승(鬱多羅僧, Uttarasanga)·안타회(安陀會, Antaravasa)를 총칭하는 것으로, 조의 수는 5조에서 25조에 이르기까지 11종이 있다.

삼의는 제일 속에 안타회를 입고 그 위에 울다라승, 맨 위에 승가리를 입는데, 일반적으로 가사라 하면 승가리를 뜻한다. 승가리는 대의(大衣)·중의(重衣)·복의(複衣)·합의(合衣)·설법의(說法衣)·걸식의(乞食衣)·복중의(伏衆衣)·입왕궁의(入王宮衣)·고승의(高勝衣)·구품의(九品衣)라 하고, 9조부터 25조까지 있다.

이 승가리는 조의 수에 따라 상·중·하품으로 분류하는데, 9조·11조·13조는 하품이고, 15조·17조·19조는 중품, 21조·23조·25조는 상품이다. 이와 같이 9종류가 있다고 하여 9의라고도 한다. 색은 적혈색계통을 많이 이용하는데, 율장(律藏)에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해서 설명하고 있다.

즉, 『사분율(四分律)』에서는 청(靑)·흑(黑)·목란(木蘭)으로 『십송률(十誦律)』에서는 청·이(泥)·천(茜)으로, 『유부율(有部律)』에서는 청·이·적(赤)으로, 『파리율』에서는 청·이·암갈색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가사색을 3종만으로 한하는 것은 아니고, 청·황·적·백·흑 등 5대색을 사용하거나, 시대의 변천과 종파에 따라서 달리 규정되었다. 우리나라는 갈색·황색·적색 계통으로 굳어졌는데, 갈색계통은 선종에서, 적색계통은 정토종에서, 황색계통은 천태종에서 주로 사용하였다.

가사는 길고 짧은 방형(方形)의 조각[橫堤, 竪條]들을 4장 1단, 3장 1단, 2장 1단, 1장 1단으로 이어서 장조(長條)를 이룬다. 이 장조를 5조로부터 25조 사이의 홀수에 해당하는 수만큼 모아서 장방형 포(布)를 이루는 것이다.

가사가 전자형(田字形)의 조각 옷감으로 이어지게 된 것은 외도(外道)와 구별되게 하고 도적에게 해를 당하지 않게 하기 위한 목적이다. 남방(南方)의 정연한 수전(水田)모양을 본떠서 부처님이 아난(阿難)에게 그 짓는 법을 고안해 내게 하였다고 한다.

이어지는 조각 옷감을 조라고 한다. 각 조를 잇는 방법은 중앙조가 양쪽에 이어지는 조의 좌우를 덮어 이어지면 그 다음부터는 좌는 좌측으로 덮어나가고, 우는 우측으로 덮어나가게 된다. 그 다음 튼튼하게 하기 위하여 사방 둘레에 단을 붙이기도 하는데 이는 ‘난(襴)’이라 한다.

사방 네 귀에는 ‘각첩(角帖)’이라는 사각천을 붙이며, 착용 때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끈을 단다. 전답의 모양을 취하고 있는 이 가사를 보시공덕(布施功德)과 연결시켜 복전의라고 부르게 되었다. 옷감의 잘라진 조각을 이어 만든 것이 인간의 모든 번뇌를 깨뜨리는 것이라 하여 해탈의 옷이라고도 부르게 되었다.

그리고 사치스런 옷감을, 깨끗한 것만을 중요시하는 것은 율법에 의한 원칙으로 금지되었다. 부처님이 입었다는 금란가사(金襴袈裟)는 불경 속에 가끔 기술되어 있다. 이 가사를 일용복으로는 사용하지 않았지만, 금색실로 짜서 만든 금루직성가사(金縷織成袈裟)를 시주받아 그것을 미륵존자(彌勒尊者)에게 주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 부처님이 성도(成道) 후에 복개천자(福蓋天子)가 바치는 금루직가사를 입었다는 기록도 전해지고 있다. 뒷날 중국에서는 이 금루직의에 해당하는 금란가사를 만들어서 국왕 등이 고승에게 내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가사의 조각 조각에 금색실로 수를 놓아서 승복의 장엄함을 갖춘 것이다.

우리나라에도 각 부위를 여러 가지 수로 장식한 금란가사가 신라시대 이래 많이 유행하였다. 고려 대각국사(大覺國師)가 입던 금란가사와 신라 선덕여왕이 자장에게 내린 금란가사, 유정(惟政)의 금란가사(중요민속자료, 1973년 지정)가 그 예라 할 수 있다.

현재에도 일광(日光)을 의미하는 삼족오(三足烏), 월광(月光)을 의미하는 옥토끼를 표현한 일월광수(日月光繡)와 사천왕을 의미하는, 천왕이 수놓인 금란가사나 불경 및 불상의 이름과 옴(ॐ)·남(हँ)자를 수놓은 금란가사를 볼 수 있다.

가사의 각 부 명칭은 다음과 같다. 중복은 각 조의 중앙에 위치하는 조를 말하는데, 25조가사의 경우에는 좌·우 양쪽으로부터 13번째가 중복에 해당한다. 좌복은 중복으로부터 좌측의 조를 의미하고, 우복은 중복으로부터 우측의 조를 의미한다.

상단(上短)이란 조의 제일 윗부분이 단으로 되었을 때이고, 상장(上長)이란 조의 제일 윗부분이 장으로 되었을 때를 말한다. 상장·상단의 다음에 오는 것은 모두 하장(下長) 또는 하단(下短)이 된다.

난(襴)이란 각 조를 단단하게 끝맺음 시켜놓기 위하여 가사의 바깥부분으로 선을 둘러놓은 것을 말하는데, 윗변의 선을 상란, 아랫변의 선을 하란, 좌·우의 난을 중앙란이라고 한다. 통문불이란 각 조의 엽과 난에 옆으로 약 1㎝ 되는 구멍을 통하여 놓은 것을 말한다.

여래통은 부처를 상징하는 것으로 중복의 상단엽 중앙에 위치한다. 보살통은 보살을 상징하는 것으로 중복의 첫째 하장엽 중앙에 위치한다. 연각을 상징하는 연각통은 중복의 두번째 하장엽 중앙에, 성문을 상징하는 성문통은 중복의 세번째 하장엽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팔부통(八部通)은 불교를 수호하는 팔부신장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천왕을 표시하는 ‘天(천)’자와 ‘王(왕)’자를 금실로 수놓은 네 모서리에 각각 2개의 통문을 내어 8개의 통문을 갖추게 된다. 수미통은 중복 상단의 위쪽 중앙엽에 있는 통문의 이름으로서, 세계의 중심에 있다고 하는 수미산을 상징한다.

광명통은 중복 하단 아래쪽 중앙엽에 있는 통문의 이름으로서, 그 위에 있는 여래·보살·연각·성문통의 가르침이 중생의 미혹을 광명으로써 깨우친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그리고 좌협통은 왼쪽 중앙란의 안쪽 엽의 중앙에 있는 통문이며, 우협통은 오른쪽 중앙란의 안쪽 엽의 중앙에 있는 통문이다.

이러한 통문은 약 1㎝ 가량의 구멍을 바느질하면서 뚫어놓아, 보살이나 부처가 이 문을 통해서 드나들고 있음을 상징하였는데, 이를 통문불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통문의 수는 25조가사일 경우 332문(門)이 된다. 그리고 중복에서 좌복 쪽으로 두번째 조의 첫째 하장에 일광보살을, 두번째 하장에 월광보살을 나타내게 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구름 사이에 있는 해와 달이라 하여, 여러 색으로 수놓은 것을 아래위로 단다. 그리고 해와 달을 삼족오와 토끼로 표현하기도 하였는데, 이 경우의 삼족오는 해를, 토끼[月宮]는 달을 상징한 것이다. 가사를 착용하기 편리하도록 끈을 다는데, 보통은 가사와 같은 헝겊조각을 사용하지만 때에 따라서는 3색끈이나 5색끈을 달기도 한다.

이를 영자(纓子)라고 하는데, 영자 대신에 은으로 만든 부속장치(附屬裝置)를 사용하기도 한다. 송광사 16국사 영정의 경우, 대부분 금박으로 된 환(鐶)과 흑색의 철제로 된 구(鉤)로써 양 끝을 잇게 한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세종실록(世宗實錄)』
『이조전기복식사연구』(김동욱, 아세아문화사, 1979)
『한국복식사연구』(김동욱, 『한국문화사대계』,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73)
『불교미술』Ⅰ(동국대학교, 1973)
『袈裟の硏究』(久馬慧忠, 東京 大法輪閣, 196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