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서 대묘 ( )

목차
관련 정보
강서 세무덤 중 대묘 정측면
강서 세무덤 중 대묘 정측면
선사문화
유적
북한 평안남도 강서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사신도 · 장식무늬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평안남도 강서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사신도 · 장식무늬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내용

강서삼묘 중 가장 큰 벽화고분이다. 고분의 분구는 원형이며, 기저부의 지름은 약 51.6m, 높이는 8.86m이다. 무덤의 구조는 널방 남벽의 중앙에 달린 널길과 평면이 방형인 널방으로 된 외방무덤이다.

널방 네 벽과 천장은 각각 한 장의 질이 좋고 잘 다듬어진 큰 화강암 판석으로 축조되었다. 천장은 2단의 평행 굄돌을 안쪽으로 내밀고 그 위에 2단의 삼각 굄돌을 얹고서 덮개돌을 덮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사신도(四神圖) 및 장식무늬로 회칠을 하지 않은 잘 다듬어진 널방 돌벽면에 직접 그려졌다.

널방 남벽의 입구 주변에는 인동·당초무늬를 그려 장식하고, 좌우의 좁은 벽에는 주작을 한 마리씩 그렸으며, 동벽에는 청룡, 서벽에는 백호, 북벽에는 현무, 천장 중앙의 덮개돌에는 황룡을 각각 그렸다. 천장의 황룡은 침수에 의해 깎이고 떨어져 나가 분명하지 않다.

천장벽화는 천장부를 구성하고 있는 제1단 굄돌 옆면에 인동무늬를 감싸안은 초롱무늬가 S자형으로 이어져나간 무늬띠를 돌렸다. 제2단 굄돌 옆면에는 비천(飛天)·비운(飛雲)·신선·산악 등이 그려져 있다. 이 굄돌의 아랫면에는 인동초롱무늬의 중앙에 연꽃무늬가 가미되어 있고, 좌우에 연꽃잎을 그린 특이한 무늬가 그려져 있다.

제2단 굄돌에는 비천을, 제3단인 삼각 굄돌 옆면에는 연꽃을 그렸으며, 그 아랫면에는 구석에 연꽃과 인동이 혼합된 무늬를 배치하고, 그 좌우에 마주 대한 봉황을 그렸다. 제4단 굄돌 옆면에는 괴조와 봉황이, 그 아랫면 구석에는 연꽃과 인동이 혼합된 무늬가 그려져 있다.

의의와 평가

고분축조 및 벽화연대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지만 대체로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초로 추정된다. 벽화는 대체로 철선묘법(鐵線描法)으로 그려졌다. 사신도는 그 구상이 장대하고 힘차며 필치가 세련되어 우리나라 고분벽화 중에서 극치를 이루는 걸작으로 평가된다. →강서삼묘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벽화고분(壁畵古墳)』(김기웅, 동화출판공사, 1982)
『朝鮮の建築と藝術』(關野貞, 岩波書店, 1941)
집필자
김기웅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