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이식 ()

강이식 영정
강이식 영정
고대사
인물
삼국시대 때, 고구려 임유관전투에 참전한 장수.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진주(晉州)
출생지
고구려
주요 관직
병마원수(兵馬元帥)
관련 사건
임유관전투
정의
삼국시대 때, 고구려 임유관전투에 참전한 장수.
생애 및 활동사항

진주강씨(晉州姜氏)의 족보에 그 시조로 알려진 인물이지만 『삼국사기』주1등 국내외 주2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597년(영양왕 8) 주3가 중국 대륙을 통일하고 고구려를 신속시키고자 무례한 주4를 보내오자 강이식은 “이러한 오만무례한 국서는 붓으로 답할 것이 아니라 칼로 대답해야 한다”면서 주전론을 제창하였다. 이후 고구려 조정 여론이 주전론 쪽으로 가닥을 잡자 수 문제가 고구려를 본격적으로 침공함에 따라 여 · 수전쟁(麗隋戰爭)이 발발하였다. 이때 강이식은 고구려의 최고 사령관인 병마원수(兵馬元帥)를 맡아 정병 5만을 이끌고 이 전투에 참가하였다.

이듬해(598) 대병력을 이끌고 주5로 나아가 요서총관(遼西總管) 위충(韋沖)과 접전하다가 주8으로 거짓 후퇴하였다. 이에 수나라의 문제(文帝)는 30만 대군을 들어 한왕(漢王) 양량(楊諒)을 행군대총관(行軍大總管)으로 삼아 임유관으로 보내고, 주나후(周羅糉)를 수군총관(水軍總管)으로 삼아 바다로 출행시키면서 평양으로 출전한다고 성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계략은 양선(糧船)을 이끌고 요해(遼海)로 들어와 양량의 수나라 대군에게 군량을 공급해주려는 속임수 전략이었다. 병마원수인 강이식은 이를 간파하고 수군으로 바다에 나아가 주나후의 군량선을 격파하였다. 이어 군중(軍中)에 주6를 지키라고 명하여 출행하지 않으니 수나라 군사들은 양식이 점차 떨어지고, 그때가 마침 6월 장마철이라 기아 · 질병으로 인하여 수군의 사기는 극도로 저하되었다. 이 때를 기회로 강이식은 총공격을 가하여 수나라 군사들을 거의 섬멸하고, 군자(軍資) · 기기(器機) 등을 노획하는 큰 전과를 올렸다.

강이식이 진두지휘한 임유관전투의 대승리로 인하여 수나라 문제 정권은 몰락하였으며, 고구려가 요동 지방을 안전하게 확보한 채 대수전쟁을 준비할 수 있게 되었다.

상훈과 추모

강이식의 묘는 과거 요녕성 무순시 장당현 고려영자촌 원수림역 뒤편에 있었는데, 중국주7 때 묘가 훼손되어 현존하지 않는다. 경상남도 진주시 상봉서동 봉산사(鳳山祠)에서는 해마다 음력 3월 10일에 그를 제향하고 있다. 신채호(申采浩)『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에 강이식 장군의 활동 모습이 실려 있는데, 지금은 전하지 않는 『서곽잡록(西郭雜錄)』과 『대동운해(大東韻海)』에 실린 것을 인용하였다고 한다.

참고문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
『진양강씨세보(晋陽姜氏世譜)』
『옛 문헌 속 고구려 사람들』(이명학, 성균관대출판부, 2005)
「조선조의 진법 고찰」(황병국, 『군사』15, 1987)
주석
주1

중국 후진(後晉) 때에 유구(劉呴)가 편찬하여 945년에 장소원(張昭遠)이 완성한 중국 당나라의 정사. 이십오사(二十五史)의 하나로, ≪신당서≫와 더불어 당나라 일대(一代)의 사실(史實)을 적었으며, 여기에 수록된 <음악지(音樂志)>, <지리지#GT#및 <동이전>은 우리나라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200권. 우리말샘

주2

정확한 사실의 역사. 또는 그런 기록. 우리말샘

주3

생물에서 새끼를 배지 않거나 열매를 맺지 않는 쪽의 성(性). 우리말샘

주4

국가의 원수가 국가의 이름으로 보내는 외교 문서. 우리말샘

주5

‘요령성’의 전 이름. 우리말샘

주6

성벽(城壁)과 성루(城壘)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1966년에 중국에서 시작한, 대규모 사상ㆍ정치 투쟁의 성격을 띤 권력 투쟁. 수정주의(修正主義)ㆍ반당(反黨)ㆍ반사회주의자에게 철저한 비판을 가하였고, 마오쩌둥(毛澤東)ㆍ린뱌오(林彪) 등은 학생 중심의 홍위병과 혁명 소조(小組) 따위를 동원하여, 류사오치(劉少奇) 국가 주석 등 당과 행정부 간부를 자본주의의 길을 걷는 실권파로 몰아 숙청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여러 문화재들이 파괴되거나 훼손되기도 하였다. 그 후 십여 년 동안 린뱌오의 실각 등 내부 대립이 끊이지 않다가 마오쩌둥의 사망 후 1976년에 종결되었다. 우리말샘

주8

현 산해관의 남서 지역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