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산실기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정기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2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정기원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2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02년에 그의 후손인 춘수(春秀)에 의하여 편집, 발간되었다. 허전(許傳)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 옥수(鈺秀)와 춘수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53수, 문 1편, 기 1편, 서(書) 4편, 부록으로 가장 1편, 신도비명 1편, 시장(諡狀) 1편, 묘지명 1편, 사제문 1편, 권2에 서(序) 1편, 유사 1편, 녹(錄) 5편, 봉안문 1편, 축제문 3편, 권3·4에 녹 1편, 문 18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비록 편수가 많지 않지만, 임진왜란 당시에 중원땅 청병의 길목에서, 또는 죽음만을 기다리는 진중에서 우러나온 충절의 소리이다. 「지진축문(地震祝文)」은 때 아닌 벼락이 떨어져서 인명이 상하자, 근신하지 아니하여 하늘의 노여움을 산 것이라 단정하여, 앞으로는 다시 재앙이 없도록 하늘에 비는 축문이다.

「정제독걸출입표첩문(呈提督乞出入票帖文)」은 두 나라 군대가 협력해서 왜적을 무찌르기 위해 은밀히 군사의 일을 상의하자면 출입이 자유로워야 함을 지적하면서, 출입하는 증표를 몇 개 보내줄 것을 청하였다. 이밖에도 저자의 임진왜란 때의 공적을 입증하는 「호성공신록(扈聖功臣錄)」·「선무공신록(宣武功臣錄)」·「유사」 등이 있다.

집필자
이순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