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나정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나정 정측면
경주 나정 정측면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박혁거세 관련 탄생지. 사적.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삼국시대 박혁거세 관련 탄생지. 사적.
개설

현재 이곳에는 박혁거세를 기리는 유허비(遺墟碑)를 비롯하여 신궁터로 추정되는 팔각건물지, 우물지, 담장지, 부속건물지 등이 발굴 결과 확인되었다.

내용

『삼국사기』에 따르면 나정(蘿井)은 신라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의 탄강처(誕降處)로 기록되어 있다. 그 기사의 대략을 살펴보면, “어느 날 진한 6촌(六村)의 하나인 고허촌(高虛村)의 촌장 소벌공(蘇伐公)이 양산 밑 나정 우물 옆에 있는 숲 사이를 바라보니 하늘로부터 이상한 빛이 드리웠고, 그 빛 속에 흰 말 한마리가 무릎을 꿇고 울고 있었다.…그 알을 이상히 여겨 깨어보니…이에 6촌 사람들은 그 아이의 출생이 이상하였던 까닭에 그를 높이 받들어 임금으로 삼았다."라고 되어 있다.

나정은 오릉(五陵)에서 남동쪽으로 약 1㎞쯤 떨어진 소나무숲 속에 시조유허비와 1.3m 크기의 방형 초석(方形礎石)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던 중 경주시에 의해 2002년부터 2005년에 이르기까지 4차례의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발굴 전 방형 초석 하부에 우물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졌었지만, 조사 결과 타원형의 구조를 가진 수혈유구(竪穴遺構)가 노출되었다. 더불어 이 수혈유구를 중심으로 4차례에 걸쳐 증축 혹은 개축된 구상(球狀) 유구와 원형의 목책열 등 일련의 시설이 확인되었다. 특히 중심부에 위치한 수혈유구와 구상유구가 핵심 시설물로 판단된다.

발굴 초기 중앙의 수혈유구는 나정이라는 유적명에 의해 우물지 관련 시설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조사 결과 내부 구조가 일반 우물터와는 달라 혼란을 야기하며 본 유적에 대한 나정이란 명칭과 그 역할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던지기도 하였다. 그러던 중 근래 부여 군수리사지 목탑지 심초석에서 유사한 구조를 가진 유구가 조사된 바 있어, 이를 참고로 본 수혈유구는 기둥을 세우기 위한 시설로 최종 파악되었다.

구상유구와 원형의 목책열 등의 축조 상한은 초기철기시대부터이며, 수혈유구를 둘러싸고 7세기대 직경 30㎝ 내외의 자연석을 초석으로 사용한 건물지가 들어섰다가, 통일 직후인 7세기 후반경 문무왕의 대대적인 왕성 중창시 한변 길이 8m에 이르는 팔각건물지가 함께 조영된 것으로 발굴단은 보고있다.

이와 같은 팔각건물지의 특이한 배치 구조는 종교 의식을 행하는 상징처로서 특별한 권위를 지니기 위해 조성되었을 것이다. 출토 유물[1390여점의 출토 유물 중 와전류가 918점, 토기류가 375점, 특히 시조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생(生)’자명 명문와 90여점 출토]의 양상도 신라 왕실과 연관된 의식을 담당했던 장소임을 시사한다. 다만 우물 구조를 가졌으리라 여겨지는 나정과 직결되는 유구가 부재하고, 나정 자체가 신라시대 어떠한 의례 관념을 가진 곳이었는지 불분명하여 앞으로 치밀한 논증과 유사 사례의 비교 등을 통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의의와 평가

박혁거세의 탄강처로 기록된 나정은 왕실 차원의 의례장소로 활용된 듯하나 기록이 소략하여 위치나 의례 양상을 명확히 알 수 없다. 다만 탄강의 행적과 음상사(音相似)로 볼 때, 소지왕이 시조 탄강처인 나을(奈乙)에 건립하고 지증왕대부터 왕실 제례로 정착된 신궁과 연계될 가능성이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삼국유사』
『경주의 고적과 전설』(최상수, 아세아문화사, 1951)
「경주 나정 발굴조사보고서」(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新羅王京 中心區域 儀禮關聯建築群에 대한 검토」(양정석, 역사와담론 68, 2013)
「한·중·일 고대의 제사제도 비교연구: 팔각건물지를 중심으로」(최광식, 『선사와 고대』 27, 2007)
「고대의 팔각형건물에 보이는 2종의 평면 형태에 대하여: 근년 알려진 집안환도산성과 경주나정의 예를 중심으로」(이양호, 『영남문화재연구』 17, 200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병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