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 ()

사회구조
개념
경제적, 사회 문화적 자산 및 생산 수단의 소유 여부 등 삶의 물적 조건상의 불평등에 기초한 사회적 관계에서의 대립적 지위.
내용 요약

계급은 경제적, 사회 문화적 자산 및 생산 수단의 소유 여부 등 삶의 물적 조건상의 불평등에 기초한 사회적 관계에서의 대립적 지위이다. 계급을 경제적 자본의 관점에서 정의한 칼 마르크스와 막스 베버 등의 고전 이론과 함께, 문화 자본 등 불균등하게 배분된 권력 자원의 다차원성에 주목한 부르디외의 계급 개념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외적으로 계급 구조와 의식, 계급 형성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세계화와 불평등의 심화로 인해 계급 내 분화와 그 함의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정의
경제적, 사회 문화적 자산 및 생산 수단의 소유 여부 등 삶의 물적 조건상의 불평등에 기초한 사회적 관계에서의 대립적 지위.
참고문헌

원전

Weber, Max, 『Economy and Society: An Outline of Interpretive Sociology』 Vol. 1(New York: Bedminster Press, 1968)
Marx, Karl and Frederick Engels, 『The Communist Manifesto』(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Co., [1848] 2014)

단행본

서관모, 『현대 한국사회의 계급구성과 계급분화』(서울 : 한울, 1984)
한상진, 『중민 이론의 탐색』(서울 : 문학과 지성사, 1991)
정진상·임영일·조효래·이진동·김영수·김재훈,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1987-2003』(파주 : 한울, 2006)
조돈문, 『노동계급 형성과 민주노조운동의 사회학』(서울 : 후마니타스, 2011)
Wright, Erik Olin, Classes.(London: Verso, 1985)
Bourdieu, Pierre,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Cambridge, MA: Harvard Unviversity Press, [1979]1987)
Grusky, David B. ed., 『Social Stratification: Class, Race, and Gender in Sociological Perspective』(Boulder, San Fransisco, Oxford: Westview Press., 1994)
Koo Hagen, 『Korean Workers: The Culture and Politics of Class Formation』(Ithaca: Cornell Unviesity Press, 2001)
Standing, Guy, 『The Precariart: The New Dangerous Class』(New York: Bloomsbury, 2011)
Pikety, Thomas,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논문

신광영, 「2000년대 계급/계층 연구의 현황과 과제」(『경제와 사회』 100, 비판사회학회, 2013)
홍덕률, 「한국대자본가의 조직화와 계급실천에 대한 연구」(『한국사회학』 28, 한국사회학회, 1994)
Goldthorpe, John H, 「Social Class and the Differentiation of Employment Contracts」(『On Sociology』,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Lee, Joohee, 「Class Strucgure and Class Consciousness in South Korea」(『Journal of Contemporary Asia』 27:2, Routledge, 1997)
주석
주1

사회나 일정한 조직 내에서의 지위, 관직 따위의 단계. 우리말샘

주2

국가를 스스로 결정하는 힘을 지닌 실체로 보는 이론. 정책 과정에서 이익 집단들이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정부나 국가는 대립되는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수동적인 역할만을 수행한다는 다원론의 주장과 대비된다. 우리말샘

주3

막스 베버, 독일의 사회학자ㆍ경제학자(1864~1920). 사회 과학의 방법론을 전개하였다. 저서에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의 정신≫, ≪직업으로서의 정치≫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4

‘제2의 본성’과 같은 것으로, 친숙한 사회 집단의 습속ㆍ습성 따위를 뜻하는 말. 프랑스의 사회학자 부르디외가 규정한 용어이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5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노무 제공과 임금 지급을 약속하는 계약.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