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달사 원종대사 혜진탑비 ( )

목차
서예
유적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에 있는 고려전기 승려 원종대사 찬유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
목차
정의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에 있는 고려전기 승려 원종대사 찬유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
내용

975년 건립. 비신의 높이 325㎝, 너비 162㎝, 두께 30㎝. 원래는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상교리의 고달사지에 있었던 것으로, 현재 경복궁 안으로 옮겨져 있는데 여러 조각으로 깨어져 있다.

비문은 김정언(金廷彦)이 짓고, 장단열(張端說)이 전액(篆額 : 전자로 쓴 비갈이나 현판의 제액)을 쓰고, 또한 정간선을 그어 해서로 비문도 썼으며, 각자(刻字)는 이정순(李貞順)이 하였다. 원종은 국사였으며 법명은 찬유(燦幽), 자는 도광(道光)이며 속성은 김씨(金氏)로 계림 하남사람이다. 비에는 원종의 가문·출생·행적 그리고 고승으로서의 학덕 및 교화·입적 등에 관한 내용이 실려 있다.

이 비문에 대하여 『동국금석평(東國金石評)』에는 고달원비는 안진경(顔眞卿)과 유공권(柳公權)의 법으로 썼는데 글자가 납작한 편이라고 하였고, 『서정(書鯖)』에 혜진탑비는 점획이 원혼(圓渾 : 둥글고 원만함)하고 취태(取態)가 단정하다고 평하였으며, 『조선금석고』에는 자경(字經)이 7푼의 해서 구양순법(歐陽詢法)으로 조술(祖述 : 스승의 도를 본받아서 서술하여 밝힘)하였다고 하였다.

그러나 안류법(顔柳法)과는 거리가 있는 것 같고, 오히려 묘지명이나 초당의 우세남(虞世南)의 법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서자(書者) 장단열은 고려를 통하여 제1급의 서가인데, 그가 쓴 봉암사정진대사탑비 등에 비하면 이 비의 품격은 크게 못 미친다. 필체가 정연하고 결구가 평정, 정묘하며 필력이 힘찬데, 투박하여 청경(淸輕 : 맑고 가벼움)한 맛은 덜하다.

통일신라 이후 비의 서자·찬자·각자의 이름을 나타내기 시작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 중의 하나로, 중국에는 각자의 이름을 밝히는 것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우리나라 서예사 흐름의 독특한 일면을 보여주는 비이다.

참고문헌

『서울금석문대관(金石文大觀)』(서울특별시, 1987)
『한국미술사(韓國美術史)』(대한민국예술원, 1984)
『근역서화징』(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상(上)(조선총독부, 1919)
『朝鮮金石攷』(葛城末治, 東京 國書刊行會, 1974)
집필자
선주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