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룡포 ()

목차
관련 정보
영친왕 곤룡포
영친왕 곤룡포
의생활
물품
왕이 집무 시에 입던 정복(正服).
이칭
이칭
용포
목차
정의
왕이 집무 시에 입던 정복(正服).
내용

가슴과 등, 양어깨에 용의 무늬를 금으로 수놓은 원보(圓補)를 붙인 옷으로 용포(龍袍)·망포(蟒袍)·어곤(御袞)이라고도 한다. 즉, 곤룡포를 입고 익선관(翼善冠)을 쓰고 옥대(玉帶)를 띠고 화(靴)를 신은 것이 왕의 시무복(視務服)이다.

왕이 정복으로 곤룡포를 입은 것은 1444년(세종 26)부터인데, 그때 명나라는 처음 익선관 하나, 포복(袍服) 세 벌, 옥대 하나, 조록피화(皁鹿皮靴) 한 쌍을 보내왔다.

중종 때는 곤룡포 한 벌을 보내왔고, 선조와 인조 때는 옷감만을 보내왔는데, 1644년(현종 5) 명나라가 망한 뒤 우리 고유의 문화와 풍토 속에서 자주성을 보이면서 우리 풍속으로 되었다.

조선시대 왕의 곤룡포는 대홍색(大紅色)이었으나, 1897년 고종이 황제위에 오르면서 황색인 황룡포(黃龍袍)를 입었다. 초기의 형태는 팸이 깊지 않은 깃이 턱 밑에 오기 때문에 속에 입은 중단(中單)의 깃이 조금 보인다.

소매는 좁고 긴 직배래에 섶은 오른쪽으로 여미게 되어 있고, 매듭단추를 채우거나 가늘고 짧은 끈으로 매었다. 무는 위쪽 뾰족한 곳이 아래를 향하였고, 옆이 밑까지 트여 있어 속에 입은 옷이 보였다.

중기의 형태는 소매는 넓어져서 진동보다 소매부리쪽이 넓어졌고, 무는 위쪽 뾰족한 곳이 위로 향하였고 넓게 붙여졌으며, 옆은 그대로 트여 있었다. 영조 때의 ≪국조속오례의보≫에 있는 곤룡포를 보면, 초기·중기와 옷깃은 같으나 소매는 더욱 넓어져 옷길이의 반 정도나 되는 두리소매이다.

무는 여분의 넓은 부분을 뒤쪽으로 접어 고정시켰다. 후기의 것은 홑옷이었던 것이 겹옷으로 되었고, 옷깃의 팸이 깊어지고 이중 깃으로 되었다. 겉감에는 둥근 깃인 단령(團領)을 달고 안감에는 곧은 직령(直領)을 달아 속에 내의를 입은 것처럼 보이도록 하였다.

그것은 고종의 <의복간소화령>에 의하여 간편함을 좇은 것이다. 소매는 넓은 두리소매가 되었고, 무는 뒤로 접힌 위쪽을 박아서 고정시키고, 아래로 터진 부분은 두 군데 정도를 징거서 속옷이 보이지 않게 하였다.

옷고름은 넓고 크게 변형되어 장식적인 구실도 겸하였다. 긴고름 두개는 겉감과 안감으로 각각 한 개씩 만들어 한 군데 붙였다. 옷감은 여름에는 사(紗), 겨울에는 단(緞)을 사용하였다.

가슴·등·양어깨에는 왕을 상징하는 발톱수가 다섯인 오조룡(五爪龍)을 수놓은 원보를 붙였다. 대홍색 곤룡포에는 대홍색 옷감에다 금사로 수놓았고, 황룡포에는 황색옷감에 금사로 수놓았다.

우리 고유의 바지·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첩리(帖裏)·답호(褡護)를 입고 곤룡포를 입었으며, 조각한 옥대를 띠고 흑화를 신었다. 후기에 와서 답호는 입지 않았다.

세자의 곤룡포는 흑색이었으며, 용의 발톱수가 넷인 사조룡보(四爪龍補)를 가슴·등·양어깨에 달았고, 조각하지 않은 옥대를 띠고 흑화를 신었다. 또, 세손의 곤룡포는 삼조(三爪)의 방룡보(方龍補)를 가슴과 등에만 달았으며, 수정대(水晶帶)를 띠고 흑화를 신었다.

참고문헌

『국조속오례의보』
『증보문헌비고』
『대한예전』
「곤룡포에 관한 연구」(고광림, 『인천교육대학논문』 9, 1974)
「곤룡포의 형태에 관한 연구」(김미자, 『서울여자대학교논문집』 7, 1978)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미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