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우희 ()

목차
관련 정보
관우희
관우희
국악
작품
조선 순조 때 송만재(宋晩載)가 지은 한문시.
목차
정의
조선 순조 때 송만재(宋晩載)가 지은 한문시.
내용

그의 아들 지정(持鼎)의 등과(登科)를 축하하기 위해서 지었다. 당시의 풍속은 등과에 창우(倡優)를 불러 각종 연희를 벌이며 축하하였는데, 송만재는 가난하여 그의 아들이 급제했을 때 이렇게 못하는 서운한 마음을 달래면서, 당시 재인(才人)의 우희(優戱)를 자세히 묘사한 이 시를 지어서 대신하였다. 8백여 자의 서문과 50수의 시로 이루어져 있다.

내용은 제1수부터 제8수까지는 광대(廣大)가 소리하기 전에 다스름, 즉 현행의 단가(短歌)에 해당하는 영산회상(靈山會相)을 부르고 구경꾼들이 조용히 다음 순서를 기다린다는 내용이다.

제9수부터 제20수까지는 「춘향가」·「적벽가」·「흥보가」·「강릉매화타령」·「가루지기타령」(일명 변강쇠타령)·「왈자타령(曰者打令)」·「심청가」·「배비장전」·「옹고집전」·「가짜신선타령」·「별주부전」(일명 토끼타령)·「장끼전」 등의 판소리 열두마당을 노래한 내용이다.

제21수부터 제25수까지는 우스운 아니리를 섞어 가며 판소리를 하는 광대의 소리하는 모습과 그 소리를 듣고 울었다 웃었다 하는 구경꾼들을 그렸다. 제26수부터 제35수까지는 줄타는 광대가 줄 위에서 하는 여러 가지 줄타기 재주를 그린 것이고, 제36수부터 제42수까지는 땅 재주를 그렸다.

제43수부터 제50수까지는 당시 광대의 습속을 그린 것으로, 광대가 고사도 지내고, 농어촌으로 다니면서 대중을 상대로 소리를 했으며, 또한 등과한 사람에게 불리기 위하여 유식한 사람을 상대로 소리를 경쟁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시는 표지도 별로 없는 허름한 문헌에 수록되어 있는데, 그 문헌에는 「관우희」 외에 신위(申緯)의 「소악부」가 수록되어 있다. 이 시는 판소리 열두마당에 관한 근거를 제시하고, 당시 재인들의 여러 활동상황을 보여주기 때문에 신위의 「관극시(觀劇詩)」와 함께 판소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연세대학교 도서관 탁사문고(濯斯文庫)에 있다.

참고문헌

「영산(靈山)과 단가(短歌)」(이혜구, 『한국음악서설(韓國音樂序說)』,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2)
「송만재(宋晩載)의 관우희(觀優戱)」(이혜구, 『한국음악연구(韓國音樂硏究)』, 국민음악연구회, 1957)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