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웅굿 (굿)

목차
관련 정보
대동굿 / 군웅굿
대동굿 / 군웅굿
민간신앙
의례·행사
서울 · 중부 및 동해안 지방의 굿에서 군웅신을 모시는 굿거리.
이칭
이칭
군웅거리, 녹동이굿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서울 · 중부 및 동해안 지방의 굿에서 군웅신을 모시는 굿거리.
내용

‘군웅거리 · 군웅장수거리 · 장수굿 · 놋동이굿’이라고도 한다. 군웅은 ‘구능’ · ‘구릉(丘陵)’ · ‘군웅(軍雄)’이라고도 표기되며, 제액(除厄:재앙을 막음) · 수호(守護)의 기능을 한다.

군웅신의 성격은 확실하지 않으나 서울 · 경기지방에서는 길, 특히 뱃길의 신이라고 하는가 하면 씨조신(氏祖神) · 가업수호신(家業守護神)이라고도 한다. 한편, 경상도 및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지역에서는 장군신의 하나로 인식되며, 이 굿에서 가축의 번식을 빈다고도 한다.

조선시대 말에 제작된 그림책으로 보이는 『무당내력 (巫堂來歷)』에 의하면 “명대(明代)에는 사신이 수로를 이용하여 왕래하였기 때문에 사신의 출발 때마다 모화관(慕華館) 밖 사신서낭당[使臣城隍堂]에서 무사히 돌아오기를 비는 굿을 행하였다. 그 때부터 굿을 할 때에는 구릉신을 모시게 되었다.”는 비교적 신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있다.

서울지방의 군웅굿은 무녀가 홍철릭[紅天翼]에 주립(朱笠)을 쓰며, 오른손에는 부채를 들고 왼손에는 돈을 싼 백지를 드는데, 백지에 싼 돈은 수로의 뜬귀신[浮鬼]에게 주는 것이라 한다.

이 굿은 서울 · 경기지역의 마을굿인 부군당굿과 도당굿의 ‘뒷전’ 직전인 마지막에 행해지는데, 특히 경기도 남부의 도당굿에서 가장 크게 행해진다. 남녀 무당 둘이 소머리를 놓은 군웅상 주위를 대칭으로 돌면서 징가락에 맞추어 엄숙하게 춤추는 ‘방수밟기’를 한 뒤 남무(男巫)가 「군웅노정기」를 부른다.

군웅이 저 멀리 강남에서 이 마을까지 오는 노정기(路程記)를 창과 재담을 섞어 노래하는 것인데, 그 연행방법은 판소리와 유사하다. 이어서 군웅은 억울하게 죽은 수비 · 영산 등 잡귀에게 떡을 꿴 화살을 쏘아 물려줌으로써 마을을 지켜준다.

한편 경상도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지역의 별신굿에서 행하여지는 ‘군웅장수거리’에서는 김유신(金庾信)을 비롯하여 중국의 조자룡 · 제갈량 등 장수신을 청배무가로서 모시어 축원한 뒤 무당이 놋동이(놋쇠로 만든 종이)를 입에 물고 장군의 위엄과 위력을 나타낸다. 그래서 이 제차를 ‘놋동이굿’이라고도 부르는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무당』(최길성, 열화당, 1981)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강원편·경기편·서울편-(문화재관리국, 1977·1978·1979)
『한국민속학개설』(이두현 외, 민중서관,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