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장전운의례관견록 ()

목차
언어·문자
작품
조선 후기 우병종(禹秉鍾)이 쓴 의례에 대한 관견록.
목차
정의
조선 후기 우병종(禹秉鍾)이 쓴 의례에 대한 관견록.
내용

그의 문집인 『성와집(惺窩集)』에 수록된 단편기록으로 『규장전운』의 권두에 실려 있다.

내용은 운서에 나타나는 성조(聲調)인 평성(平聲)·상성(上聲)·거성(去聲)·입성(入聲)에 따른 상이점에 대한 견해와 그 중 입성에 있어서는 유운미(有韻尾)인 양성(陽聲)과 입성과의 관계를 ㄱ·ㄴ·ㄹ·ㅁ·ㅂ·ㆁ의 종성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전통적인 36자모(字母)의 기원과 『삼운성휘(三韻聲彙)』에 부재된 『홍무정운(洪武正韻)』의 31자모도(字母圖)를 보이고, 『삼운성휘』의 주(註)를 들어 그 표준이 되는 자음을 한글자음과 대비하여 청탁(淸濁)의 차별을 설명하고, 또한 통운(通韻)에 있어서는 상통하는 운(韻)을 들어 그것은 원래 고악부(古樂府)인 두한시(杜韓詩)에서 비롯됨을 밝히고 있다.

한 가지 특이한 것은 『규장전운』의 권두 의례 말미에 보이는 생생자(生生字)의 명칭에 대한 의문의 제기이다. 생생자는 의례에서 밝히고 있듯이 1794년(정조 18) 갑인년에 나무로 만든 활자이다.

이 책에서는 생생자는 어떤 뜻으로 이름한 것인지 알지 못하나 통속적으로 주자(鑄字)를 일러 활자라고 하니, 생생자가 혹 이 활자를 이르는 것이 아닐까 한다 하여 목활자가 아닌 정리자(整理字)와 혼동하기 쉬운 견해를 표명하고 있다.

참고문헌

『성와집(惺窩集)』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