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경록 ()

목차
고려시대사
문헌
고려후기 문신 이색과 이인복이 저술한 역사서.
이칭
이칭
본조금경록
목차
정의
고려후기 문신 이색과 이인복이 저술한 역사서.
내용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지만, 1371년(공민왕 20) 5월에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 이인복(李仁復)과 지준추관사(知春秋舘事) 이색(李穡) 등에게 명하여 『본조금경록(本朝金鏡錄)』을 증수하게 하였다는 것이 바로 이 책일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제현(李齊賢)이 지은『사략(史略)』이나 민지(閔漬)가 지은 『편년강목(編年綱目)』과 함께 편년체로 된 고려의 통사로 생각된다. 다루고 있는 시기는 정총(鄭摠)이 쓴 「고려국사서(高麗國史序)」에 “이인복과 이색이 『금경록』을 지었으나 정종 때에 그쳤으며 소략한 흠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로 미루어본다면, 고려 초기인 제10대 정종 때까지의 역사를 기술한 것으로 고려말까지의 통사는 되지 못하는 미완성의 책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익재선생년보(益齋先生年譜)』에 의하면 이제현도 1356년에 『금경록』을 편찬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수광(李睟光)의 『지봉유설』에 “이제현 등이 지은 『해동금경록(海東金鏡錄)』 1권이 조선 후기까지 남아 있었는데, 책으로 완성되지는 않았으나 그 기사가 자못 볼 만하였다.”고 전한다. 이 책이 이색과 이인복 등이 지은 『금경록』과 동일한 것인지 아닌지는 확인할 수 없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高麗史)의 연구(硏究)』(변태섭, 삼영사, 1982)
「王氏高麗朝に於ける修史に就いて」(今西龍, 『高麗史硏究』, 近澤書店, 194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