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신론사족 ()

목차
불교
문헌
조선후기 승려 유일이 『대승기신론』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승려 유일이 『대승기신론』을 풀이한 주석서. 불교서.
내용

1권 1책. 목판본. 내용은 『기신론』의 일심(一心)·이문(二門)·삼대(三大)·사신(四信)·오행(五行) 중 일심을 중심으로 해설하고 있다. 일심은 원만하고 완전한 실재로서 중생과 부처를 융섭(融攝)하고 있다.

저자는 중생의 마음과 부처의 마음이 같은 일심이기 때문에 중생과 부처를 포괄하는 우주적 일심을 따로 상정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는 최눌(最訥)의 일심관을 비판하면서, 중생심과 부처의 마음은 모두 대일심(大一心)의 완전한 투영일 뿐이라고 하였다. 또한, 절대적인 유심론으로 『대승기신론』의 일심을 설명하지 않고 도가의 태일적(太一的) 관점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은 청나라 선사들의 실재론적 해석방법을 따른 것이다. 그리고 지옥과 극락 등을 객관적 실재로 보고 서방정토에 대한 실제적 왕생을 주장하여, 자심(自心)이 정토라는 선종의 정통해석과는 다른 주장을 펴고 있다.

참고문헌

『李朝佛敎』(高橋亨, 寶文館, 1929)
집필자
정병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