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우제 ()

목차
관련 정보
기우제 / 물병 거꾸로 매달기
기우제 / 물병 거꾸로 매달기
민속·인류
의식행사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용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국가의례. 제사.
내용 요약

기우제는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용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국가 의례이다. 농사와 관련된 행사로 수리 시설이 부족했던 옛날일수록 기우제가 많았다. 비를 기원하는 방법으로 왕들이 직접 제사를 지내거나 용을 그려 비를 부르기도 했다. 고려와 조선 시대에도 나라에서 지내는 기우제가 계속되었다. 한편 민간이나 지방관청의 기우제도 다양했다. 1930년대에는 산 위에서 분화, 물병 거꾸로 매달기, 시장 옮기기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최근 기우제가 거의 자취를 감추었지만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서는 옛 모습이 남아 있다.

목차
정의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용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국가의례. 제사.
내용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농업을 기본으로 삼아 왔다. 농업에는 물이 필요하며, 그것은 곧 비를 의미하였다.

특히, 벼농사에는 적절한 강우량이 필요하나 우리나라에서는 장마철에만 집중적으로 비가 내리고 그 전후에는 가뭄이 계속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따라서 수리시설이 부족했던 옛날일수록 기우제는 많을 수밖에 없었고, 그것은 전국적으로 보편적인 현상이었다.

농민의 생사를 좌우하는 것이 농사이고, 그 농사를 좌우하는 것이 바로 비였기 때문에 기우제에는 가능한 모든 방법이 동원되어 왔다.

그러한 비에 대한 관심은 단군신화의 환웅이 풍백(風伯) · 우사(雨師) · 운사(雲師)를 거느리고 내려왔다는 기록에서부터 보인다. 삼국시대에는 삼국이 각각 시조묘 · 명산대천 등에 기우제를 올렸던 기록들이 『삼국사기』에 보인다.

그중에는 왕이 직접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도 있고, 최근까지도 행해졌던 방법처럼 시장을 옮기고, 용을 그려서 비가 내리도록 빌었다는 기록도 보인다.

고려시대에도 기우제에는 국왕 이하 사람들이 근신하고, 천지 · 산천 · 종묘 · 부처 · 용신에게 제를 지냈다. 비가 내리도록 비는 법회(法會)도 열고, 도교의 태일(太一)에 초제(醮祭)도 올렸다.

그중 잦았던 것은 무당을 모아 비가 내리도록 비는 취무도우(聚巫禱雨)의 기록이다. 많을 때에는 300명, 긴 날짜로는 6일씩, 흙으로 용을 만들고 비가 내리도록 빌기도 하였다.

『고려사절요』 권4 정종 2년조에 기우제를 행하는 예법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 보면 가뭄 때에는 죄수들을 자세히 심리하여 죄 없이 억울하게 형벌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하고, 가난한 백성들을 구제하고, 무덤이 파헤쳐져 밖으로 드러난 해골을 묻어 주었다.

그리고 큰 산이나 강 · 바다는 구름과 비를 일으키는 곳이라고 하여, 그에 대해서 각각 북교(北郊:북쪽 교외. 예전에 창의문 밖의 근교)에서 기도하고, 그 다음에 종묘에 빌었다.

이와 같이 7일마다 한 번씩 빌어도 비가 오지 않으면, 다시 큰 산 · 강 · 바다에 처음과 같이 기도하고, 가뭄이 더욱 심해지면 기우초제를 지내는 제단인 기우단에 제사 지낸다.

장터에서 사람들이 더위를 피하여 모자 쓰는 것, 부채질하는 것을 금지하였고, 관마(官馬)를 먹이는 데는 곡식을 쓰지 못하게 하였으며, 도살도 금하였다. 조정에서는 국왕과 백관들이 근신하였다.

국왕은 정전을 피하여 밖에서 정무를 보았으며, 반찬의 가짓수도 줄였다. 이것은 나라에 가뭄이나 홍수 등 천재지변이 있는 것은 국왕이나 조정의 대신들이 덕이 없어 정치를 잘못한 것이라고 생각한 때문이다.

조선시대에도 기우제는 잦았다. 『조선왕조실록』을 찾아보면 기우제가 음력으로 4월에서 7월 사이의 연중행사였음을 알 수 있다.

한 예로 태종 재위 18년간, 기우제에 관한 기록이 없는 것은 1403년(태종 3) 한 해뿐이다. 그 외 17년 동안은 해마다 2∼3회씩, 16년 한 해 동안에는 9회의 기우제 기록이 보였다. 또, 반대로 이 18년 동안 6회의 기청제(祈晴祭) 기록도 보이는데, 이는 장마철인 6∼7월 사이에 행해졌다.

이렇게 나라에서 지내던 기우제 중에는 국행기우제(國行祈雨祭)의 12제차가 있어서 각 명산 · 대천 · 종묘 · 사직 · 북교의 용신들에게 지내는 복잡한 절차가 있었다.

12제차는 가뭄의 정도에 따라서 5월에 1차, 6월에 2차를 지내기도 하고, 5월에 5차까지, 6월에 8차까지 하기도 하고, 심하면 4월에 10차까지 하고 5월에 12차까지 다 끝내는 때도 있었다.

이러한 국행기우제에는 대신들을 제관으로 파견하였다. 그 밖의 기우제로 고려시대 이래의 취무도우도 많았고, 승려나 장님들을 절에 모아서 비를 빈 기록들도 있다.

한편 민간이나 지방관청의 기우제도 다양하였다. 1930년대의 유형과 방법들을 간단히 살피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절차로서, 동제(洞祭)를 지낼 때와 같은 방식으로 제관들이 선출되고, 소머리 · 돼지 · 닭 · 술 · 과실 · 포 · 식혜 등의 제물을 차리고, 주1 · 주2 · 주3 · 주4 등의 절차에 따라 제를 지낸다. 그러고 나서 다음과 같은 기우제 나름의 독특한 방법들이 행해진다.

(1) 산상분화(山上焚火): 제관들이나 마을사람들이 장작 · 솔가지 · 시초(柴草) 등을 산 위에 산더미처럼 쌓고 불을 지른다.

흔히 군(郡)에서 주최하여 수십 개 마을이 밤중에 같이 하므로 대단한 장관을 이루기도 하였다. 이렇게 하는 까닭으로는 기원을 천신께 알리기 위해서라든가, 천신이 오르내리는 길을 밝힌다든가, 양기(陽氣)인 불로 음기인 비구름을 부른다는 등의 이유가 전해져 오나, 대개 옛 관습을 따른 것이다.

기압의 변화가 적은 밤중 고기압에 덥혀진 저기압의 충격이 비구름을 형성시킬 수 있으리라는 논의도 있다.

(2) 물병 거꾸로 매달기와 물긷기: 기우제 기간 중 마을사람들이 각기 자기집 처마 끝에 버들가지나 솔가지로 마개를 한 물병을 거꾸로 매단다. 이것은 낙수가 떨어지는 듯한 유사주술행위(類似呪術行爲)로, 유사한 현상은 유사한 결과를 낳는다는 원초적 심성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또 부인들이 강물을 [箕]에 퍼서 머리에 이고 온몸을 적신 채 뭍으로 오르내리기를 되풀이한다. 이것도 위와 같은 유사주술행위로 보인다. 또 부인들이 각자 물동이에 강물을 길어 산 위의 기우제장에 가서 절을 하고 쏟아 버리기도 한다.

(3) 시장 옮기기: 삼국 · 고려 · 조선시대에 모두 기록이 있는 오랜 전통이다. 비가 내릴 때까지는 옮긴 장터에서 계속 장을 벌인다. 원 시장터에는 무당을 모으거나 흙으로 큰 용을 빚어서 기우제를 계속 지내는 곳도 있었다.

그런데 조선 초기 한양(지금의 서울)의 경우는 원칙으로 시장을 종로에서 남쪽인 남대문이나 지금의 충무로 쪽으로 옮기는 동시에 남대문을 닫고 북문을 열었다. 이는 음기(陰氣)인 시장을 옮기면서 남문의 양기를 막고, 북문의 음기를 들이고 음기인 비구름을 맞으려는 음양설에 근거를 둔 주술적 신앙행위였던 것으로 보인다.

(4) 용제(龍祭): 삼국시대부터 전국 각지에서 성행하던 방법이다. 용을 그려 붙이기도 하고, 용을 만들어서 빌기도 하였다. 장소는 기우제장이나 장터이고, 용의 크기도 60㎝에서 20여m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몸뚱이는 통나무에 짚을 감고 흙을 바르고 청색으로 비늘을 그린 다음, 머리 쪽에서는 무당들이 굿을 하고, 몸뚱이 쪽에서는 판수들이 독경을 하고, 꼬리 쪽에서는 중들이 염불을 하기도 하였다. 이것은 비구름을 자유로이 부른다는 용의 영력이 발휘되기를 촉진, 강청하는 것이다.

(5) 줄다리기: 줄다리기는 연중행사의 하나로 대개 정월 대보름에 행해졌다. 그런데 이 줄을 용으로 인식하는 관념이 있었다. 그래서 줄다리기를 쌍룡상쟁(雙龍相爭)을 뜻하는 것으로 보아 비구름을 기대하는 것이다. 이긴 편에 강우와 풍년이 약속된다고 믿어, 가물었을 때에 줄다리기를 벌여 쌍방이 결사적으로 줄을 당기는 곳들이 있었다.

(6) 부정화(不淨化): 예로부터 오늘날에까지 계속 행해지는 전통적인 방법이다. 이것은 기우제장이나 용신이 있다고 전하는 용소(龍沼) · 용연(龍淵) 등에 개를 잡아서 생피를 뿌리거나 머리를 던져 넣어서 신성성을 더럽히는 것이다.

이 부정을 자취 없이 깨끗이 씻어내기 위하여 용신이 큰 비를 내린다는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한강이나 박연폭포에 용의 원수인 호랑이 머리를 넣었다는 기록들이 있다.

(7) 묘 파기: 명산의 명당에 조상을 모시면 자손이 번창한다는 풍수신앙에서 유래한 방법이다. 예로부터 많은 마을들은 명산의 기슭에 자리를 잡고 그 생기를 고루 받으면서 한 집안의 독점을 막는다는 관념이 있었다. 또 명산에 시체를 묻으면 부정을 씻을 수 없고 비가 안 내린다는 관념도 있었다.

그래서 가뭄이 계속되면 누가 몰래 암장(暗葬)한 것으로 알고, 산을 뒤져서 묘를 파내고 시체가 있으면 이것을 드러내 놓는다. 이것 또한 산신에게 비를 내리고 부정을 씻게 하려는 부정화의 방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1970년대에 작성된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를 보면, 이러한 기우제들이 거의 자취를 감추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노인들의 체험담을 통해서 묘 파기 · 부정화 · 산상분화에 관한 세부 자료를 많이 얻을 수 있다.

특히 전라남도 도서지방과 산간지방에 기우제의 옛 모습이 많이 남아 있다. 묘 파기는 부인들이 하는 일이었고, 산상분화와 부정화 방법들은 남자들이 주도하여 면(面) 단위에서 여러 마을이 동시에 하는 특색을 가지고 있다. →기설제, 기청제

참고문헌

『삼국사기』
『고려사』
『고려사절요』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69∼1980)
『釋奠·祈雨·安宅』(朝鮮總督府, 1938)
주석
주1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처음 잔을 올리기 전에 신을 내리게 하기 위하여 향을 피우고 술을 따라 모사(茅沙) 위에 붓는다.    우리말샘

주2

신이나 윗사람에게 술을 올림. 또는 그 술.    우리말샘

주3

축문(祝文)을 읽음.    우리말샘

주4

제사를 지내고 난 뒤 제사에 쓴 음식을 나누어 먹음.    우리말샘

주5

강원도 정선군 화암면에 있는 동굴. 석회 동굴이자 수중 동굴로, 내부는 수평, 수직, 경사를 이루며 발달하였다. 도롱뇽, 어류 따위의 수중 생물이 서식한다.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이다. 길이는 약 250미터.    우리말샘

주6

용이 사는 연못.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