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교신 ()

김교신
김교신
인물
일제강점기 무교회주의를 제창한 교육자. 종교인.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1년(고종 38)
사망 연도
1945년
출생지
함경남도 함흥
내용 요약

김교신은 일제강점기 무교회주의를 제창한 교육자이자 종교인이다. 1901년(고종 38)에 출생하여 1945년 사망했다. 도쿄 유학 당시 일본의 군국주의에 반대하고 일본 기독교의 자주성을 주장하면서, 무교회운동을 전개하던 우치무라[內村鑑三]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일본에서 귀국하여 1927년 7월 『성서조선』을 창간하였다. 1942년 3월 『성서조선』이 불온 잡지로 지목되어 폐간당하고, 김교신을 비롯한 편집진 13명은 구속되어 1년간 옥고를 치뤘다. 최근에 그의 기독교에 대한 민족주의적 수용 자세, 종교인 및 교육가로서의 행적에 관한 재평가가 이뤄지고 있다.

정의
일제강점기 무교회주의를 제창한 교육자. 종교인.
개설

함경남도 함흥 출신. 태종함흥차사 박순(朴淳)과 함께 함흥에 갔다가 다행히 죽음을 면하고 정평(定平)에 정주하게 된 김덕재(金德載)의 후예로 아버지는 김염희(金念熙), 어머니는 양신(楊愼)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어렸을 때 한학을 공부하고 함흥보통학교를 거쳐 함흥농업학교를 졸업한 뒤 일본에 건너가 도쿄 세이소쿠영어학교[東京正則英語學校]에 입학했다. 1922년 도쿄고등사범학교 영문학과에 입학했으나, 그 뒤 지리 · 박물과로 전과하여 1927년에 졸업하였다.

도쿄유학 당시 일본의 군국주의에 반대하고 일본기독교의 자주성을 주장하면서, 무교회운동(無敎會運動)을 전개하던 우치무라[內村鑑三]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당시 한국인 유학생으로 이 강의에 참석했던 송두용(宋斗用) · 유석동(柳錫東) · 양인성(楊仁性) · 정상훈(鄭相勳) · 함석헌(咸錫憲) 등은 조선성서연구회를 조직하여 우리말 성경을 읽고 연구하였다. 또, 이들은 졸업하고 귀국하여, 1927년 7월 월간 동인지 『성서조선(聖書朝鮮)』을 창간하였다. 1930년 5월 제16호부터는 이 동인지를 김교신이 주1로 단독 간행하였으나 동인들의 투고는 계속되었다.

이 책은 1942년 3월호의 권두언 ‘조와(弔蛙)’가 한국민족의 영혼을 찬양했다는 이유로 불온잡지로 지목되어 폐간당하였다. 그리고 그를 비롯하여 함석헌 · 송두용 · 유달영(柳達永) 등 13명은 검속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1년간 주2를 치렀는데 이것이 세칭 ‘성서조선사건’이다. 1944년 7월 함남질소비료공장에 강제징용된 한국인 노무자들의 처참한 생활을 도와주기 위해 이 공장에 입사하여 주로 교육 · 후생 · 주택 등의 문제를 보살펴주다가, 1945년 4월에 죽었다.

그는 주로 민족사학의 교사로 있으면서 많은 제자를 길렀다. 그가 근무한 학교는 함흥 영생여자고등보통학교 · 양정중학교 · 경기중학교 · 개성 송도중학교이다. 그의 기독교에 대한 이해는 한국의 역사와 한국인의 가슴으로 성경을 읽어야만 한다는 뜻에서 민족적이고, 교회라는 체제적인 울타리를 벗어나 민중 속에 들어가야 한다는 뜻에서 민중적이며, 한국이라는 토양 위에서 새롭게 꽃피어야 한다는 뜻에서 토착적이었다.

이들 무교회클럽과 일반 교회 신자와의 신앙생활 방식에는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난다. 첫째, 눈에 보이는 회당으로서의 교회를 진정한 교회로 보지 않고, 신자들이 성경을 읽고 기도하는 모든 자리가 교회일 수 있다고 보았다. 둘째, 교회의 목사, 또는 각 교파의 지도자들이 가지고 있는 권한, 즉 교권을 인정하지 않았다. 셋째, 세례식 · 주3 등 교회에서 행하는 예식에 별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넷째, 교회를 대표하는 사람들이 행사하는 성서해석권을 거부하고 각 사람의 믿음과 은총의 분수대로 성경의 뜻을 깨우침받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다섯째, 하나님이 우리 민족에게 위탁하신 귀한 섭리사적 사명이 무엇인가를 한국의 쓰라린 역사를 바탕으로 찾아내는 일을 신학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삼고 있었다. 최근에는 그의 기독교에 대한 민족주의적 수용자세, 종교인 및 교육가로서의 탁월한 행적에 관한 재평가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김교신의 철학』(양현혜,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김교신』(金丁煥, 한국신학연구소, 1980)
『김교신의 민족정신사적 유산』(민족문화연구 10,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6)
『김교신의 무교회주의와 조선적 기독교』(閔庚培, 조선출박사 회갑기념논문집, 대한기독교서회, 1975)
『김교신』(나라사랑 17, 외솔회, 1974)
『김교신과 한국』(노평구, 제일출판사, 1972)
주석
주1

신문사나 잡지사 따위에서 행정이나 편집을 책임지는 사람. 또는 그런 직위. 우리말샘

주2

옥살이를 하는 고생. 우리말샘

주3

예수의 수난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의식. 예수의 최후를 기념하여 회중(會衆)이 예수의 살을 상징하는 빵과 피를 상징하는 포도주를 나누어 먹는 의식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