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영 ()

김동영
김동영
정치
인물
제9대, 10대, 12대, 13대 국회의원, 정무제1장관 등을 역임한 정치인.
이칭
민초(民草)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36년
사망 연도
1991년
출생지
경상남도 거창
정의
제9대, 10대, 12대, 13대 국회의원, 정무제1장관 등을 역임한 정치인.
개설

경상남도 거창 출신. 호는 민초(民草). 중농집안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거창농림고등학교를 거쳐 1960년동국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한 뒤 부산 동성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이해 일어난 4·19혁명 때 학생운동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그 뒤 김영삼의 비서관으로 정계에 입문했으며, 이후 9대 · 10대 · 12대 · 13대에 걸쳐 4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활동사항

김영삼의 비서관으로 정치에 입문하였으며, 1971년에는 우석대학교 · 고려대학교 강사를 지낸 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 신민당의 공천으로 거창 · 산청 · 함양 지역구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이듬해는 신민당경상남도 당위원장이 되었다. 1975년에는 동국대학교 이사가 되고, 이듬해는 국회 상공위원회 간사를 역임하였으며, 1977년에는 신민당 사무차장이 되었다. 이듬해에는 제10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79년 10·26사태주1가 붕괴하고 민주헌법으로의 개정이 추진될 때 국회 헌법개정심의특별위원회 간사가 되었으며, 이듬해 5월 전두환(全斗煥)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집권하면서 국회의원직을 상실하고 정치활동이 규제되었으며, 이 과정에서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수료하였다. 1981년 김영삼(金泳三) 계열 인사들을 중심으로 하여 민주산악회가 결성될 때 이민우(李敏雨) 회장 밑에 최형우(崔炯佑)와 함께 그 부회장이 되었다.

1984년김영삼 계열과 김대중(金大中) 계열이 합동하여 민주화추진협의회를 결성할 때 상임운영위원회 위원으로 활약하였고, 이해 전두환 군부독재에 의해 정치규제가 해금되었으며, 해금인사들을 중심으로 한 신한민주당을 창당할 때 창당준비위원 및 정무위원으로 활약하였다. 이듬해는 신한민주당의 공천으로 제1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국회가 개원되자 신한민주당 원내총무가 되었다.

1986년에는 한 · 베네주엘라 의원 친선협의회장이 되고, 이듬해는 주2의 개헌을 지지하는 야권인사들이 결집되어 통일민주당을 결성할 때 그 부총재가 되었으며, 헌법개정을 위한 8인정치회담 통일민주당측 대표로 참여하였다. 1988년에는 제13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 통일민주당 수석부총재 및 해외동포 협력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이듬해는 통일민주당 수석부총재와 사무총장을 겸임하면서 통일민주당의 핵심 인사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노태우(盧泰愚) 정권기인 1990년 노태우 · 김영삼 · 김종필(金鍾泌) 등 3인의 타협으로 통합여당인 민주자유당이 탄생하였는데, 이때 김영삼과 함께 참여하여 15인통합추진위원회 위원이 되고, 3당통합 이후 민자당 원내총무에 발탁되었다. 이어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이 되고, 한 · 구주 의원친선협의회 회장을 맡았으며, 정무제1장관이 되어 합당 이후 이질적인 3당 융화의 중책을 수행하였다. 1991년 사망할 때까지 김영삼의 최측근 참모로서 활동했으며, 세간에서 최형우와 함께 대표적인 상도동 가신그룹으로 꼽히며 "좌동영 우형우"로 불렸다

저서

저서로는 『타오르는 민주성화(民主聖火)』(1986)가 있다.

상훈

1991년 사망 후 정부에서 청조근정훈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인명사전(韓國人名事典)』(연합통신, 1992)
『타오르는 민주성화(民主聖火)』(김동영, 형성사, 1986)
주석
주1

1972년 비상조치에 의하여 개헌이 단행된 유신 헌법이 발효되어 성립한 정치 체제. 우리말샘

주2

국민 전체가 투표하여 대통령을 선출하는 제도. 우리나라에서는 제2 대ㆍ제3 대ㆍ제5 대ㆍ제6 대ㆍ제7 대 대통령을 이렇게 선출하였고, 1987년 채택된 제9 차 개정 헌법에 따라 제13 대 대선 때부터는 계속해서 이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