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성 ()

목차
관련 정보
산수도 / 김유성
산수도 / 김유성
회화
인물
조선후기 「금강산도」 · 「낙산사도」 · 「사계산수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이칭
이칭
중옥, 서암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5년(영조 1)
사망 연도
미상
본관
김해
주요 관직
도화서 첨정
관련 사건
1764년 통신사행 수행화원
목차
정의
조선후기 「금강산도」 · 「낙산사도」 · 「사계산수도」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개설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중옥(仲玉), 호는 서암(西巖). 도화서(圖畵署)의 화원이었으며, 첨정(僉正)을 지냈다. 1763년에서 이듬해까지 통신 사행(通信使行)의 수행 화원으로 일본에 다녀왔다. 「한객인상필화(韓客人相筆話)」에 의하면 일본 사행 중의 그는 골격이 풍만하고 잘생겼으나 병이 있었다고 했으며, 희망은 부귀를 누리는 것과 득남(得男)이었다고 한다.

활동사항

통신사행 중에 일본 남화(南畵)의 대가인 이케노 타이가(池大雅)로부터 화법(畵法)에 대한 질문의 편지를 받기도 하였다. 유작은 국내에 10여 점, 일본에 9점 가량 전하고 있다. 일본에 남아 있는 작품들이 격조가 높은 편이다. 특히 짙고 옅은 먹을 변화 있고 능숙하게 처리한 일본 개인 소장의 「산수도」의 경우, 남종화법을 토대로 발전된 그의 뛰어난 기량을 잘 보여 준다.

사행 당시 기요미지(淸見寺) 주지의 요청에 의하여 그곳에 그려 놓고 온 「금강산도(金剛山圖)」(1764년)와 「낙산사도(洛山寺圖)」(1764년) 등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들은 당시 한․일간 회화 교섭의 실상을 추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선과 심사정(沈師正)의 영향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남종화풍의 발전에 세련미를 더해 주었다. 그리고 정선파(鄭敾派)의 진경산수화풍이 일본 화단에 전해지는 데 이바지한 바 크다. 이밖에 그의 대표작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사계산수도(四季山水圖)」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12 산수화 하(안휘준 감수,중앙일보사, 1982)
『근역서화징』(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1764년 통신사의 회화활동과 그 교류」(서윤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7·18세기의 한일간회화교섭」(홍선표, 『고고미술』143·144, 한국미술사학회, 1979)
『한국(韓國)의 미(美) 12 -산수화(山水畵) 하(下)-』(안휘준 감수, 중앙일보사, 1982)
「일본을 왕래한 화원들」(이동주, 『일본 속의 한화』, 서문당, 1974)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池大雅から金有聲への手紙」(山內長三, 『月刊韓國文化』24, 東京:自由社, 1981)
「17·18세기(世紀)의 한일간회화교섭(韓日間繪畵交涉)」(홍선표, 『고고미술』143·144, 1979)
「일본(日本)을 왕래(往來)한 화원(畵員)들」(이동주, 『일본 속의 한화』, 서문당, 1974)
「池大雅から金有聲への手紙」(山內長三, 『月刊韓國文化』 24, 1981)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