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려 ()

목차
고대사
인물
초기국가시대 위만조선 말기 예족의 군장.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예(濊)
주요 관직
예군(穢君)
관련 사건
서기전 128년에 휘하의 28만 명을 거느리고 한(漢)에 투항
목차
정의
초기국가시대 위만조선 말기 예족의 군장.
내용

당시 예족사회는 부족연맹체 단계의 정치적 성장을 이룩하였을 것이라 짐작된다. 그런데 동방사회의 영도세력의 위치에 있던 위만조선으로부터 상당한 간섭을 받고 있던 처지였으므로, 위만조선의 압력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서기전 128년에 휘하의 28만인과 함께 한(漢)에 투항하였다. 그래서 한나라가 이 지역에 창해군(蒼海郡, 滄海郡)을 설치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한편 『사기』·『한서』 등의 문헌에서는 그를 ‘예군(穢君: 濊君)’이라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단순히 ‘예족의 족장’임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볼 수도 있겠지만, 한편 위만조선이나 한으로부터 수여된 칭호라 생각된다.

이 예군 남려(南閭)에 대해서는 요동군(遼東郡) 인근 지역의 예족 부락의 군장(君長)으로 보거나 혹은 집안 지역에 중심을 두고 압록강 본류 유역 일대의 대수맥(大水貊)과 혼강(渾江) 유역의 소수맥(小水貊)을 아우른 대부족 연맹체의 장으로 보는 견해, 동해안 함흥 일대를 본거지로 하는 예의 군장으로 보는 견해, 부여 왕으로 비정하는 견해 등이 있다.

한편 예족사회의 위치에 대해서는 안정복(安鼎福)의 강릉설(江陵說), 유득공(柳得恭)의 춘천설(春川說), 이마니시(今西龍)의 함흥(咸興) 또는 정평설(定平說), 이케우치(池內宏)의 영흥설(永興說) 등 여러 설이 있다.

예군 남려가 이끌고 투항한 28만 인은 강력하게 통합된 지속성을 지닌 정치체라기보다는 한과 위만조선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이해를 같이한 주민집단들의 완만한 연합체로 여겨진다. 또한 이들 지역에 설치한 창해군의 경우 설치 후 인력과 경비 부담의 문제로 인해 3년 뒤에 폐지되었다가 한이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기원전 107년에 이 지역에 현도군(玄菟郡)을 설치하였다.

참고문헌

『동사강목(東史綱目)』
『발해고(渤海考)』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한국고대국가발달사』(김철준, 한국일보사, 1975)
「고조선·부여의 주민 구성과 종족」(박경철,『북방사논총』6, 고구려연구재단, 2005)
「고구려의 기원과 국내성 천도」(노태돈,『한반도와 중국 동북3성의 역사 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고구려사회’의 발전과 정치적 통합 노력」(박경철,『한국고대사연구』14, 서경문화사, 1998)
「현도군고」(이병도,『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眞番郡の位置について」(池內宏,『滿鮮史硏究』上世, 1951)
「眞番郡考」(今西龍,『朝鮮古史の硏究』, 193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