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밀 ()

목차
인문지리
지명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옛 지명.
이칭
이칭
무동미지현(武冬彌知縣), 갈동미지현(曷冬彌知縣), 단밀현(單密縣)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의성 지역의 옛 지명.
내용

원래 신라의 무동미지현(武冬彌知縣, 또는 曷冬彌知縣)인데, 경덕왕 때 단밀현(丹密縣, 또는 單密縣)이라 고쳐 문소군(聞韶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1018년(현종 9) 화령(化寧)·중모(中牟)·청리(靑里)·산양(山陽)·공성(功城)의 5현과 함께 상주(尙州)의 임내(任內)가 되었다.

조선 초기에 위의 5현에 영순현(永順縣)을 더하여 모두 상주목의 속현이 되었는데, 15세기 말기 『동국여지승람』이 편찬될 무렵까지 속현으로 남은 현은 단밀·화령·산양·중모의 4현뿐이다. 그 뒤 한때 비안군(比安郡)에 속하기도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단밀현 영역의 대부분은 의성군 단밀면이 되고, 일부는 단북면·구천면에 편입되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고려사(高麗史)』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여지도서(輿地圖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