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도일기 ()

목차
근대사
문헌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임병찬이 최익현이 대마도에서 순국한 사실을 기록한 의병록.
목차
정의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의병장 임병찬이 최익현이 대마도에서 순국한 사실을 기록한 의병록.
내용

1책. 필사본. 이 일기와 함께 부록으로 최익현의 제자 최제학(崔濟學)이 쓴 「반구일기(返柩日記)」가 합본되어 있다.

1906년 6월 일본군사령부는 최익현 3년, 임병찬 2년형을 선고하고 일본헌병이 호송, 대마도의 이즈하라(嚴原)에 연금시켰다. 그곳에는 이미 호서(湖西)의 의병장이던 이칙(李侙)·남경천(南敬天) 등 9명이 유배되어 있었다.

이때 이들은 모두 머리깎기를 거절하고 저항을 하였고, 최익현은 단식을 시작하여 끝내 순국하였다. 저자는 스승 최익현의 병증세를 살피며 간호한 과정을 세밀히 기록하였고, 일본관리와의 접촉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적었다.

또, 국내의 제자·친척·친구들의 문안 내왕의 사정 등을 같은 해 음력 11월 최익현이 죽을 때까지 서술하였다. 부록인 「반구일기」는 임종 후 영구(靈柩)가 일본에서 돌아오게 된 전말과 부산항 도착 후 군중이 애도하던 상황을 기록하였다.

최익현이 임종하던 전후의 사정을 적은 뒤 영구를 고향으로 옮겨 장사지내도록 제자와 친척에게 연락하고 일본당국과 교섭을 벌이던 내용이 자세히 적혀 있다.

또한, 영구를 실은 일본 기선이 11월 부산 초량진(草梁津)에 도착하여 영구를 우리 배에 옮긴 다음 1,000여 명의 군중이 영구를 뒤따라 그 행렬이 5리나 이어졌다고 한다. 끝에는 최익현을 흠모하던 부산상무사(商務社)김영규(金永圭)의 애도문 등이 실려 있다.

참고문헌

『독립운동사자료집』 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