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택굿 (굿)

목차
관련 정보
대택굿 / 영혼 천도
대택굿 / 영혼 천도
민간신앙
의례·행사
황해도 지방에서 전승되는 무속의례 중 가장 규모가 큰마을굿. 무신굿 · 무속의례.
이칭
이칭
만수대탁굿, 만구대탁굿, 대탁굿, 만구대택굿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황해도 지방에서 전승되는 무속의례 중 가장 규모가 큰마을굿. 무신굿 · 무속의례.
개설

대택굿은 황해도에서 전승되는 무속의례 중 규모가 가장 큰 굿이다. 보통 만수대탁굿이라 부르고 만구대탁굿·대탁굿·만구대택굿이라고도 한다.

대택굿의 목적은 집안의 번창과 가족들의 건강, 노인의 불로장생 등 산 사람의 길한 복을 빌고, 동시에 조상들은 물론이고 살아 있는 노인들도 죽은 뒤 왕생극락할 것을 비는 데 있다.

무당이 스스로 자신의 대택굿을 벌이는 경우도 있는데, 어느 정도 큰무당으로서의 평판을 얻은 다음에야 할 수 있다. 이때 제자 무당들을 거느리고 가까운 동료 무당들의 협조를 얻어 단골들과 마을 주민들을 불러 성대하게 행한다. 평생에 대택굿을 세 번 하면 모든 소원이 다 이루어진다고 믿는다.

대택굿은 봄·가을에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정월에 하는 수도 있는데, 개인굿이지만 규모가 커서 마을잔치의 성격을 띠고 적어도 사흘 이상 계속된다. 그래서 대택굿을 하려면 떡·술·밥에 각각 쌀 한 섬, 소 한 마리, 돼지 대여섯 마리 그리고 생선·건어물·산채·야채·과실·두부 등을 대량으로 준비하여야 한다.

굿당은 굿하는 집의 바깥마당에 사각형으로 만드는데, 3면에는 지상에서 1.5m 높이로 시렁을 매고 제단으로 삼는다. 제단 위에 무당이 가지고 온 ‘마지[巫神圖]’와 명두를 걸고 각종 지화(紙花)와 깃발로 화려하게 장식한다.

내용

대택굿은 32거리로 되어 있는데, 산 사람의 길복을 추구하는 굿과 조상 및 사령(死靈: 망자의 넋)을 위로하는 굿이 함께 행하여지는 것이 특징이다. 마치 철물이굿과 지노귀굿이 합쳐진 형태를 띠는 것이다.

굿의 내용은 먼저 ‘안반고사’를 지내고 ‘신청울림’으로 굿을 시작한다는 것을 신들에게 알린다. 이어 수명장수를 비는 칠성굿, 산신을 위한 상산맞이, 부정을 가시고 신을 청하는 초부정 초감응굿, 불필요한 잡귀를 내보내는 영정굿을 한다.

다음으로 비린 것을 받지 않는 소대감놀이를 한 뒤 길복을 비는 제석굿, 집안의 수호신을 위한 성주굿, 무당의 몸주신을 위한 성수굿, 연극적인 도산말명굿, 일월성신에게 길복을 축원하는 일월맞이, 사또놀이·사냥굿이 이어진다.

생돼지를 잡아 원혼을 위로하는 생타살굿을 하고, 대감신을 대접하는 익은타살굿을 한 뒤 불참한 신을 대접하는 먼산장군굿, 토지신을 대접하는 서낭굿, 바다에 방황하는 신들을 위안하는 영산할먐·할아뱜굿을 하고 조상굿·걸립대감을 하여 굿을 마친다. 이상의 제차는 기주(祈主)집의 살아 있는 가족들의 길복을 축원하는 굿이다.

다음에는 굿청의 상과 악사의 유희를 반대 방향으로 옮겨 뒤집어 굿을 꾸민 다음 조상과 사령을 위하여 굿을 한다. 영실감응굿·영실제석굿·영실성주굿·영실성수굿·영실먼산장군굿·영실타살굿·영실대감굿을 한 뒤 기주집의 노인 가족의 수명장수와 극락천도를 빌며 산시왕가름을 한다.

이어서 작두에 오르는 비수거리, 잡귀를 풀어 먹이는 마당굿으로 끝맺는데, 해안지방의 경우는 바다나 강에서 방황하는 잡귀를 보내는 강변·영산전송굿으로 끝맺는다.

이처럼 산 사람과 죽은 영혼을 위한 의식을 같은 순서로 반복하여 행하는 굿은 다른 지역에서는 볼 수 없다. 그러나 대택굿은 제주도에서 심방[무당]이나 큰 부잣집에서 열흘 정도 걸려 행하는 큰굿과 성격이 비슷하다.

제주도의 굿은 당굿·성주굿·시왕맞이를 특별한 목적을 위하여 하루 이틀에 걸쳐하는 작은굿과 종합 무속의례인 큰굿으로 나누어지는데, 큰굿에서는 산 사람의 길복과 영혼천도를 비는 내용 등 작은굿의 무속 절차가 모두 행해진다.

또한, 큰굿을 평생에 세 번 하면 모든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믿는데 이는 만수대탁굿과 같다. 이 밖에도 대택굿 중 산시왕가름은 동해안 지방의 산오구굿과 목적이 비슷하다. 만수대탁굿은 막대한 재물·인력·시간이 소모되므로 좀처럼 보기 드물다.

참고문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무의식편(문화재관리국, 1983)
『한국무가집』(김태곤, 집문당, 1971)
집필자
임석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