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 ()

선사문화
유물
끝이 삼각형을 이룬 짧은 칼모양의 초기철기시대 공구.
이칭
이칭
동새기개
목차
정의
끝이 삼각형을 이룬 짧은 칼모양의 초기철기시대 공구.
내용

‘동새기개’라고도 한다. 초기철기시대 유적에서 발견된다. 크기는 길이 15∼20㎝, 너비 2∼3㎝ 정도이다. 칼과는 달리 중앙부에 능선 또는 돌기선(突起線)이 있거나 횡단면이 납작한 삼각형을 이룬 것이 특징으로, 날은 앞 끝의 삼각형 부분에만 세웠다.

동사는 찌르는 용도의 첨두기(尖頭器) 또는 창끝으로 알려지기도 하고, 고기를 잘라서 집는 수저인 ‘동비(銅匕)’라고도 하나, 모두 형태로만 추정한 것이므로 확실치 않다. 동사의 연원에 대해서는, 중국의 전국시대 초나라 영역인 장시성[江西省]·안후이성[安徽省]·허난성[河南省]일대에서 동사가 발견되므로 화남계라고 보는 설이 있다. 한편, 중국 전국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예를 보면, 목간(木簡)과 죽간(竹簡) 등을 깎는 너비가 좁은 협각도(夾刻刀), 즉 공작도로 사용된 경우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사가 출토된 우리나라의 유적지로는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 평안남도 대동군 반천리, 황해도 봉산군 송산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제리, 경상남도 산청군 백운리, 경상남도 김해시 회현리, 충청남도 공주, 경상북도 경산시 임당동 등이 있다. 그리고 전라남도 영암과 장성에서는 동사거푸집이 출토되었다. 장성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동사거푸집은 길이 15.5㎝, 폭 4㎝, 두께 3㎝의 양면에 동사를 새겼다. 앞면과 뒷면의 동사는 같은 형식으로 1줄의 돌대를 둘렀으며 한쪽이 약간 짧다. 우리나라 영역 밖으로는 연해주 이즈웨스토프 출토 예가 있는데 모두가 세형동검관계 유적이다.

한편, 평안북도 위원군 용연동에서는 다수의 전국시대 철기와 함께 철사(鐵鉇) 1개가 발견되었다. 이 철사는 재질의 차이는 있으나 동사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의의와 평가

동사는 서기전 3∼2세기경의 세형동검관계 유적에서 비교적 한정되어 발견되며, 한식철기(漢式鐵器)가 유입된 뒤로는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동사를 통해 북방 청동기문화 및 중국과의 교류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선사문화상 갖는 의미가 크다.

참고문헌

「한국청동유물의 연구」(윤무병, 『충남대학교인문과학논문집』Ⅱ·3, 1975)
「朝鮮發見の銅사について」(西谷正, 『古代學硏究』46, 1967)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