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굿 (굿)

목차
관련 정보
문굿
문굿
민간신앙
의례·행사
동해안 지역의 오구굿에서 네 천왕문을 열어서 신을 맞이하는 굿거리.
목차
정의
동해안 지역의 오구굿에서 네 천왕문을 열어서 신을 맞이하는 굿거리.
내용

먼저 모든 무당들이 남녀를 가리지 않고 춤을 추는 것으로 시작된다. 남무는 주로 잡이가 되어 악기를 연주하고 무녀들은 춤을 춘다. 이것이 무당들의 예능실력을 과시하는 것이라 하며, 마을사람들이 무당들의 실력을 엿보는 거리라고도 할 정도이다.

무당들의 군무와 함께 모든 악기의 연주로 인해서 굿을 여는 분위기를 창출하는 데도 의미가 있다. 그러나 문굿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문을 열어서 신을 맞이하는 것이다. 굿에는 여러 신들이 와야 하기 때문에 신들이 자유롭게 들어오라는 의미에서 행한다.

대개는 이러한 춤과 무악으로 문굿이 끝나는 것이지만, 경상북도지방에서는 문답설법(問答說法)이라는 과정이 삽입되어 있다. 남무가 묻고 여무가 대답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예컨대, 남무가 무녀에게 “어느 행각이냐?” 하면 무녀는 “행각도 아니옵고 걸각도 아니옵고 어열씬 영가(靈駕)천도 드리는 신하제신들입니다.”라고 대답한다.

이렇게 차일(遮日 : 햇볕을 가리는 포장)을 친 이유, 네 기둥의 의미, 등(燈)의 의미, 아미타불의 원력들에 대하여 묻고 답하는 식으로 하고, 마지막에는 죽은 이의 천도를 위하여 『미타경(彌陀經)』·『사십팔원경』 따위를 독송한다.

설법이라는 말처럼 불교적인 색채가 강한 거리이지만, 실제로는 죽은 이의 영혼을 극락으로 보내는 무속신앙의 제차로 돈을 바치지 않으면 저승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것이다. 십대왕문을 들어갈 때 문전을 주어야 하므로 문전을 바치고 극락문으로 들어가라고 돈전을 만들어 걸어놓은 것이라는 설명을 한다.

또, 문굿에서는 사후결혼(死後結婚)이나 넋건지기굿을 하는 경우가 있다. 미혼으로 죽은 사람을 위해서 굿을 하는 경우 신랑신부의 인형을 만들어 초례상을 차려 혼인식을 올리고, 물에 빠져 죽은 사람이 있으면 바다에서(또는 강에서) 넋을 건지는 의례를 한다.

넋을 건진 신체를 신당에 모셔놓고 굿을 진행한다. 문굿은 불교적 영향이 강한 무속 제차로서 무속과 불교의 복합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무속(韓國巫俗)의 연구(硏究)』(최길성, 아세아문화사, 1978)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최길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