받침

목차
언어·문자
개념
한글에서 모음자 밑에 받쳐 쓰는 자음자(子音字).
목차
정의
한글에서 모음자 밑에 받쳐 쓰는 자음자(子音字).
내용

한글은 원래 음소문자(音素文字)로 창제되었지만, 실용에 있어서는 자음자와 모음자를 합하여 한 음절을 나타내는 음절문자(音節文字)로 만들어 쓰이고 있는데, 이 경우 ‘자음자+모음자+자음자’에서 마지막의 자음자를 받침이라고 한다. 국어는 자음으로 끝나는 폐음절(閉音節, closed syllable)이 많은 언어 중의 하나로서 받침은 바로 이 폐음절 끝소리의 표기이다.

『훈민정음』에서는 ‘종성(終聲)’이라고 하였다. 현대국어에서 쓰고 있는 받침은, ‘하나받침(홑받침)’·‘둘받침’·‘쌍받침’ 등이 있는데 모두 27개이다. 셋받침 이상은 쓰이지 않는다. ① 하나받침으로는 ㄱ(목·먹다), ㄴ(손·안다), ㄷ(낟·받다), ㄹ(길·갈다), ㅁ(밤·검다), ㅂ(집·곱다), ㅅ(옷·낫다), ㅇ(콩·당기다), ㅈ(낮·꽂다), ㅊ(빛·쫓다), ㅋ(부엌·녘), ㅌ(밭·같다), ㅍ(앞·깊다), ㅎ(낳다·좋다) 등 모두 14개이고, ② 둘받침으로는 ㄳ(삯), ㄵ(앉다), ㄶ(많다), ㄺ(흙·긁다), ㄻ(옮다), ㄼ(밟다), ㄽ(곬), ㄾ(핥다), ㄿ(읊다), ㅀ(뚫다), ㅄ(값,없다) 등 11개이다. ③ 쌍받침으로는 ㄲ(밖·꺾다), ㅆ(있다·았·) 등 2개이다. 이 중에서 ‘ㅎ·ㄵ·ㄶ·ㄾ·ㄿ·ㅀ·ㅆ’ 등은 동사·형용사에서만 쓰인다. 그리고 한자음의 받침은 ‘ㄱ·ㄴ·ㄹ·ㅁ·ㅂ·ㅇ’의 6개뿐이다.

받침의 발음은 받침 글자대로 나지 않는다. 둘받침에서는 그 중의 하나만이 발음되며, 쌍받침은 ‘ㄲ’은 ‘ㄱ’으로, ‘ㅆ’은 ‘ㄷ’으로, 그리고 하나받침 ‘ㅅ·ㅈ·ㅊ’은 ‘ㄷ’, ‘ㅋ’은 ‘ㄱ’, ‘ㅌ’은 ‘ㄷ’, ‘ㅍ’은 ‘ㅂ’으로 발음된다. 따라서, 받침의 발음은 맞춤법과는 달리 ‘ㄱ, ㄴ, ㄷ, ㄹ(설측음 [I] 로만 남.), ㅁ, ㅂ, ㅇ’ 등의 7소리에 국한된다. 이런 현상을 받침법칙 또는 말음법칙(末音法則)이라고 한다.

그러나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어미·접미사 등이 이어질 때에는 제 음가대로 나는데, 음절상 하나받침과 쌍받침의 경우에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로 나게 되고, 둘받침의 경우에는 그 중의 오른쪽 받침만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 나게 된다. 또, 받침 ‘ㅎ’은 그 뒤에 ‘ㄱ·ㄷ·ㅈ’ 소리가 이어지면, 이들과 합해져 격음화된다(좋고→조코, 낳다→나타, 쌓자→싸차).

받침의 표기는 처음 15세기 국어에서는 초성(初聲) 곧 자음을 다 받침으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나(終聲復用初聲, 『訓民正音』例義), 오히려 이른바 ‘팔종성법(八終聲法)’(ㄱᄠᅳᆷ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 『訓民正音』終聲解)이 널리 쓰이게 되어, 최세진(崔世珍)의 ‘초성종성통용팔자(初聲終聲通用八字)’로 이어 굳어졌다.

이후 근세국어에서는 위 받침 8개 중에서 ‘ㄷ’을 제외한 7개와 ‘ㄺ·ㄻ·ㄼ’ 등 3개 모두 10개가 쓰여져 내려오다가, 갑오경장 이후 주시경(周時經)이 훈민정음의 ‘종성부용초성’의 원리에 따라 모든 초성이 종성(받침)에 쓰일 수 있다고 주장함에서 비롯하여, 받침표기는 점차 현재와 같은 형태소적표기원리(形態素的表記原理)로 기울어, 마침내 1933년에 공포된 조선어학회(지금의 한글학회)의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11항의 규정으로 현재와 같이 28개의 받침을 쓰게 되었다.

참고문헌

『국어음운학』(허웅, 샘문화사, 1985)
『우리말본』네번째 고침판(최현배, 정음사, 1965)
『한글맞춤법통일안강의』(이희승, 신구문화사, 1959)
『우리말본』네번째 고침판(최현배, 정음사, 1965)
「종성 표기론의 사적 고찰」(이길록, 『한글』158, 1976)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