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작란도 ()

목차
관련 정보
김정희의 부작란도
김정희의 부작란도
회화
작품
조선 말기의 화가 김정희(金正喜)가 그린 난(蘭) 그림.
이칭
이칭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
목차
정의
조선 말기의 화가 김정희(金正喜)가 그린 난(蘭) 그림.
개설

종이 바탕에 수묵으로 그렸고, 크기는 세로 54.9㎝, 가로 30.6㎝이다. 손창근이 소장하고 있으며, 김정희의 묵란도(墨蘭圖)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그림으로, ‘불이선란도(不二禪蘭圖)’라고도 불린다.

내용

이 그림에 붙여진 ‘부작란도(不作蘭圖)’ 혹은 ‘불이선란도’라는 제목은 화면의 왼쪽 윗부분에서부터 오른쪽으로 줄을 바꾸며 써내려 간 쓴 김정희의 제시(題詩)에서 연유한다.

“난초 꽃을 그리지 않은 지 20년 만에 뜻하지 않게 깊은 마음속의 하늘을 그려 냈다. 문을 닫고 마음 깊은 곳을 찾아보니 이것이 바로 유마힐(維摩詰)의 불이선(不二禪)이다.”라 썼다. 또 조금 작은 글씨로 “만일에 누가 그 이유를 설명하라고 강요한다면 역시 또 비야리성(毘耶離城)에 살던 유마힐의 무언(無言)으로 거절하겠다.”라는 글이 추사체(秋史體)로 적혀 있다.

이 시와 글은 석가모니와 같은 시기에 살았던 인도의 현인(賢人) 유마힐과 보살들 간의 대화를 기록한 『유마힐경(維摩詰經)』 중 불이법문품(不二法門品)에서 따온 것이다. 즉 선(禪)을 여러 가지 말로 설명하는 보살에게 오직 침묵으로 대항하여 ‘둘이 될 수 없는 선(不二禪)’의 참뜻을 보여 주었다는 이야기이다.

김정희는 오랜만에 그린 난초를 ‘성중천(性中天)’이라 하고 이를 다시 ‘불이선’에 비유하고 있다. 또 한 번 크게 꺾인 길다란 난초 잎의 오른쪽에는 “초서(草書)와 예서(隷書)의 이상한 글씨체로 (난을) 그렸으니 세상 사람들이 어찌 이를 이해하고 어찌 이를 좋아할 수 있으랴.”라고 썼다. 김정희 자신이 그의 화란법(畵蘭法)에서 늘 주장해 온 것처럼 예서와 초서로 난을 그렸다고 밝힌 것이다. 과연 이 그림의 난초는 언뜻 보면 잘 그렸다고 생각되지 않는다. 다만 추사체의 글씨를 특징짓는 기괴(奇怪)라는 표현이 어울린다고 생각된다.

이 밖에도 화면의 제일 왼쪽에는 “처음에는 달준(達俊)을 위하여 거침없이 붓을 놀렸다. 단지 하나는 있을 수 있으나 둘은 있을 수 없다.”, 그리고 “오소산(吳小山)이 보고는 빼앗듯이 가져가니 우습다.”라고 쓰여 있다.

이 글을 통하여 김정희는 사람들에게 마음 내키는 대로 그림을 그려 주고, 그 친구들은 그의 깊은 마음속의 표현인 난초 그림을 소중히 간직하고 싶어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특별한 지기(知己) 사이나 작화(作畵) 태도는 북송시대부터 발달하기 시작한 중국 사대부 화가들의 전형적인 이상세계를 상기시켜 준다.

난초는 담묵(淡墨)으로 힘없이 그려져 이제 곧 시들어 버릴 듯하다. 더구나 여백을 꽉 채운 짙은 먹 글씨들의 위세에 눌려 초라하기까지 하다. 그러나 연약하면서도 군데군데 보이는 비백(飛白)의 묘미와 몇 번씩 구부러진 획의 강인성이 두드러져 보이며 한 송이 꽃이 향기를 발하고 있다.

참고문헌

『추사집(秋史集)』
『추사 김정희, 학예 일치의 경지』(국립중앙박물관, 2006)
『한국의 미』 17-추사김정희-(임창순 감수, 중앙일보사, 1985)
『한국의 미』 18-화조·사군자-(정양모 감수, 중앙일보사, 1985)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