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곡 ()

목차
관련 정보
시용향악보 / 사모곡
시용향악보 / 사모곡
국악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려 속요.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려 속요.
내용

작자·연대 미상의 고려 속요.

일명 <엇노리>라고 한다. ≪시용향악보 時用鄕樂譜≫·≪금합자보 琴合字譜≫에 사설 및 악보가, ≪악장가사≫에는 그 가사만 전한다. 이와 같은 악보의 기록으로 미루어 <사모곡>은 조선 초기까지 전승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사설은 어머니의 사랑을 기린 내용으로 전체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호ᄆᆡ도 ᄂᆞᆯ히어신 마ᄅᆞᄂᆞᆫ

낟ᄀᆞ티 들리도 어ᄲᅳ섀라

아바님도 어ᅀᅵ어신 마ᄅᆞᄂᆞᆫ

위 덩더둥셩

어마님 ᄀᆞ티 괴시리 어ᄡᅦ라

아소 님하 어마님 ᄀᆞ티

괴시리 어ᄡᅦ라.

악보상에 나타난 <사모곡>의 음악적 내용은 ≪시용향악보≫에 의하면 계면조의 선법에 16정간보 8행의 길이로 되어 있고, ≪금합자보≫에 의하면 거문고의 대현(大絃) 5괘가 궁(宮)인 임종평조(林鐘平調)로 되어 있다.

한편, 국문학계에서는 사모곡을 ≪고려사≫ 악지에 전하는 목주가(木州歌)와 같은 곡으로 보는 견해를 피력한 바 있다. 그러나 <사모곡>이 대부분의 고려 속요가 지니고 있는 3음보 율격의 반복 어구와 댓구의 사용, 여음(餘音)의 사용, 단연체(單聯體)의 시상을 연장체(聯章體)의 형식으로 구성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록 원형상으로는 <목주가>와 관련이 있음을 고려해 본다 하더라도 악보로 정착된 <사모곡>은 <목주가>와는 달리 완전히 고려 속요로 전환한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 <사모곡>은 1970년대에 들어 기존의 고악보를 근거로 재현하거나 새로운 창작 동기를 가지고 편곡한 곡명을 일컫기도 하는데, 1976년에 김기수(金琪洙)에 의하여 중창 형식으로 재현된 바 있으며, 1977년에는 작곡가 이성천(李成千)이 관현악 반주와 합창곡으로 재현한 바 있다.

참고문헌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악장가사(樂章歌詞)』
『금합자보(琴合字譜)』
『국문학전사』(이병기, 신구문화사, 1960)
『한국가요의 연구』(김동욱, 을유문화사, 1961)
『한국음악』 7(국립국악원, 1970)
「고려가사연구」(김상덕, 『청주대학교논문집』 5, 1966)
「고대문학의 현실성 연구」(김종우,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 7·8집, 1968)
「사모곡 신고」(이종출, 『양주동박사고희기념논문집』, 탐구당, 1973)
「고려가요 사모곡 신고」(강헌규, 『국어국문학』 84, 1980)
『한국고전시가의 연구』(김학성, 원광대학교 출판국, 1980)
『장사훈박사회갑기념동양음악논총』(한국국악학회,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송방송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