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관기 ()

목차
관련 정보
삼관기
삼관기
한문학
문헌
조선후기 문신 이재가 간접적으로 전해들은 사실과 직접 보고 들은 체험적 사실을 바탕으로 기록한 잡록.
정의
조선후기 문신 이재가 간접적으로 전해들은 사실과 직접 보고 들은 체험적 사실을 바탕으로 기록한 잡록.
개설

귀〔耳〕·눈〔目〕·마음〔心〕의 세가지 기관을 통하여 듣고, 보고, 느낀 것을 적어놓은 글이라는 뜻을 가진다. 『패림(稗林)』에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상·하 두권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상권에 이관(耳官) 상·하가, 하권에 목관(目官)과 심관(心官)이 수록되어 있다.

내용

이관과 목관은 선조나 앞시대의 역사, 그리고 자신과 동시대의 인물이나 사건 등에 대하여 전해들은 이야기를 기록한 것이다. 할아버지·아버지 및 친인척의 영예, 인현왕후(仁顯王后)에 얽힌 일, 송시열(宋時烈)과 관련된 사건, 김만중(金萬重)의 효성 및 「구운몽」에 대한 언급, 병자호란 당시의 상황, 이밖에 김상헌(金尙憲)·민정중(閔鼎重)·김창흡(金昌翕) 등 노론계 인사들의 정치적 활동과 당쟁에 얽힌 이야기들이 중심적 내용이다.

심관은 주로 자신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내용이 중심을 이룬다. 자신의 성장과정과 관직생활 등 생애적 사실을 포함하여, 문장수업과 학문활동 등 내면세계를 알려주는 자료, 그리고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난 사건, 인물 등 각종 견문을 기록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저자가 간접적으로 전해들은 사실과 직접 보고 들은 체험적 사실을 바탕으로 기록된 것이다.

따라서, 당시의 정치·인물·역사를 알 수 있는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어, 당시의 사회를 이해하는 데 상당히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특히, 이 자료는 일찍이 국문학연구에서 김만중에 대한 언급이 실려 있으며, 특히 「구운몽」의 작가와 저작동기에 대하여 비교적 이른 시기의 언급이라는 점에서 일찍부터 주목되어 연구자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