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갑문 ()

목차
관련 정보
남포특별시 / 서해갑문
남포특별시 / 서해갑문
인문지리
지명
남포시 와우도구역 영남리와 황해남도 은율군 송관리 사이의 대동강 하구에 있는 북한의 대표적인 갑문.
이칭
이칭
남포갑문
목차
정의
남포시 와우도구역 영남리와 황해남도 은율군 송관리 사이의 대동강 하구에 있는 북한의 대표적인 갑문.
내용

미림갑문(美林閘門)ㆍ봉화갑문(烽火閘門)과 함께 북한의 3대갑문으로서, 1981년 5월에 착공되어 1986년 6월에 완공되었다. 공사기간 중에는 남포갑문으로 명명되었으나, 뒤에 서해갑문으로 이름을 고쳤다. 진남포와 황해도 은율군 피도(避島)를 잇는 제방의 길이는 8㎞이며, 3개의 갑실과 36개의 수문을 가지고 있다.

이 갑문은 남포항의 접안능력을 제고시킨다는 목적 외에 서해안에 개간 중인 총30만 정보의 간석지 중 평안남도와 황해남도의 20만 정보의 논에 농업용수 공급, 남포공업지구의 공업용수확보, 수량조절로 대동강 하류 홍수방지, 인공호수에서 양식업 개발 등의 효과를 노리고 건설된 것이다.

이 갑문의 건설로 대동강과 재령강의 수량이 많아져서 진남포와 순천ㆍ재령의 공업지대와 농업지대를 잇는 운하가 생겨났으며, 댐 위로 철도ㆍ차도ㆍ보도가 생겨 진남포의 영남지역과 은율, 신천과 재령, 사리원과 평양을 잇는 교통망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 갑문의 흑조 때문에 대동강의 사토(砂土)가 퇴적되어 하상이 높아지는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한편, 노동당시대의 대기념비로 선전하며 주민 및 외국관광객들의 주요 참관코스로 내세우고 있다.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