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첨홍무정운 ()

목차
언어·문자
문헌
조선전기 최세진이 『홍무정운역훈』을 보완하여 편찬한 사전. 한어발음사전.
목차
정의
조선전기 최세진이 『홍무정운역훈』을 보완하여 편찬한 사전. 한어발음사전.
내용

『홍무정운역훈』이 활자본임에 반하여 『속첨 홍무정운』은 목판본이며, 각 운안의 자모는 음각으로 되어 있다.

현재 상권 105장 전면까지만 전해지고 있는데, 상권에는 『홍무정운』 권9까지의 내용이 실려 있다. 『홍무정운』이 모두 16권이므로 나머지 부분은 하권에 실었을 것으로 보아 이 책은 상·하 두권으로 되었으리라고 본다.

편찬자에 대한 기록이 없으나, 최세진의 『사성통해(四聲通解)』 범례 제2조에, “…홍무정운에 빠진 자가 많아서 다른 운서들을 참고로 하면서 증첨한다(字之取捨音之正俗專以洪武正韻爲準但以俗所常之字而正韻遺闕者多矣 故今並增添或以他韻參補之).”라는 기록으로 보아 『속첨 홍무정운』을 쓴 의도를 알 수 있다.

따라서, 편찬시기는 최세진이 생존해 있던 16세기 전기가 된다. 『홍무정운역훈』이 명나라 『홍무정운』을 바탕으로 그 발음만을 훈민정음으로 나타낸 것임에 대하여, 『속첨 홍무정운』은 역훈을 보완하여 한어의 발음을 합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고, 금속음(今俗音)을 보태어 실제 한어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한 현실적인 운서이다

.책의 제목을 ‘속첨’이라 덧붙인 것은, 앞선 문헌의 설명 부분을 대폭 수정하여 속첨자 ─ 금속음을 추가하였기 때문으로, 즉 『홍무정운역훈』을 깁고 보태었다는 뜻이다.

명나라 운서인 『홍무정운』이 우리나라에 들어와 그에 대한 우리의 연구로 『동국정운(東國正韻)』·『홍무정운역훈』·『사성통고(四聲通攷)』·『사성통해』·『속첨 홍무정운』 등의 운서가 이루어짐에 따라 학문적으로는 말소리의 연구가 이어져왔고, 실제적으로는 외국어학습에 이바지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국어학사 논고』(박태권, 샘문화사, 1976)
「속첨홍무정운(續添洪武正韻)에 대하여」(김완진, 『진단학보』29·30 합병호, 1966)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의 연구(硏究)」(이숭녕, 『진단학보』20, 195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