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돌 설화 ( )

목차
관련 정보
김포 손돌묘 정측면
김포 손돌묘 정측면
구비문학
작품
남성 풍신(風神)인 손돌에 관한 설화.
목차
정의
남성 풍신(風神)인 손돌에 관한 설화.
내용

‘손돌바람설화’ · ‘손돌목전설’ · ‘손돌전설’이라고도 한다. 음력 10월 20일에 부는 차가운 바람신인 손돌신의 신화로서, 경기도 김포시와 강화군 사이에 있는 손돌목이라는 주1의 지명 유래담이기도 하다. 「손돌설화」의 기본형은 손돌목 · 손돌무덤이 있는 강화 · 인천 지방을 중심으로 전승되어 왔으며, 설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려시대 몽고군의 침입으로 왕이 강화로 피난을 할 때, 손돌이란 뱃사공이 왕과 그 일행을 배에 태워서 건너게 되었다. 손돌은 안전한 물길을 택해 초지(草芝)의 여울로 배를 몰았다. 마음이 급한 왕은 손돌이 자신을 해치려고 배를 다른 곳으로 몰아가는 것으로 생각하고, 신하를 시켜 손돌의 목을 베도록 명하였다. 이 때 손돌은 왕에게, 자신이 죽은 뒤 배에 있는 박을 물에 띄우고 그것을 따라가면 몽고군을 피하며 험한 물길을 벗어날 수 있다는 말을 남기고 죽었다. 손돌을 죽이자 적이 뒤따라오므로 왕과 그 일행은 손돌의 말대로 박을 띄워 무사히 강화로 피할 수 있었다. 왕은 손돌의 충성에 감복해 그의 무덤을 만들고 제사를 지내 그 영혼을 위로하였다.

손돌이 억울하게 죽은 날은 10월 20일이었는데, 그 뒤 이 날이 되면 손돌의 원혼에 의해 매년 추운 바람이 불어왔다. 이에 이를 ‘손돌바람’이라 하고, 이 여울목을 ‘손돌목’이라 하였다. 이로 인해 어부들은 이 날 바다에 나가는 것을 삼가고, 평인들은 겨울옷을 마련하는 풍습이 생기게 되었다. 이 설화는 전승 지역에 따른 변이와 굴절을 특징 있게 보여 주고 있다. 즉, 손돌목 부근을 비롯한 경기도 서북부 지역에서는 위의 설화의 줄거리가 소극적 변이 형태로 전승된다. 그 변이의 정도는 박 이야기가 생략되기도 하고, 몇 가지 종류의 박 속에서 벌 · 폭약 등이 나와서 몽고군을 격퇴시켰다는 것으로 부연되기도 한다.

그러나 본격적인 변이 형태는 경기도 안성지방에서 전승되는 힘센 장사로서의 「손돌설화」에서 발견된다. 이 지역에서는 손돌이라는 힘이 센 장사가 스승의 명으로 시장에 옷을 사러 갔으나 날씨가 따뜻하므로 옷 대신에 절구통을 사 왔다. 손돌이 그 통에 절구질을 하며 추운 줄을 모르고 지냈으나 날이 갑자기 추워지자 겨울옷이 없어 얼어 죽었다. 손돌장사가 10월 20일에 얼어 죽었고, 이 날은 매년 심히 추우므로 이 날을 ‘손돌뱅이 죽은 날’이라 하고, 추위를 ‘손돌추위’라 한다. 이런 변이가 충청북도 영동지방에서는 10월 20일을 ‘손사공 죽은 날’ 또는 ‘모진 놈 죽은 날’로 표현해, 무섭고 흉악한 손돌사공으로 굴절되었다. 그러므로 「손돌설화」는 전통 주2 신앙의 약화로 나타난 소멸계 설화를 포함한, 한 설화의 생성 · 굴절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데 그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
『한국민간전설집』(최상수, 통문관, 1958)
「손돌전설의 변이형태연구」(설성경, 『한국민속학』6, 1974)
주석
주1

강이나 바다 따위의 바닥이 얕거나 폭이 좁아 물살이 세게 흐르는 곳. 우리말샘

주2

바람을 주관하는 신.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