솟대쟁이패 (솟대쟁이)

목차
관련 정보
기산풍속도첩/솟대장이패
기산풍속도첩/솟대장이패
연극
개념
장터를 찾아 떠돌아 다니며 우리나라 전래의 체기 놀이를 주로 하던 예인집단. 진주오광대패.
이칭
이칭
진주오광대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장터를 찾아 떠돌아 다니며 우리나라 전래의 체기 놀이를 주로 하던 예인집단. 진주오광대패.
내용

솟대란 원래 소도(蘇塗)에서 유래한 민족적 용어로, 장대(長竿)를 뜻하는 것이다. 솟대쟁이패란 명칭은 이 패거리들이 벌이는 놀이판의 한가운데에 반드시 솟대와 같은 긴 장대를 세우고, 그 꼭대기로부터 양편으로 두 가닥씩 네 가닥의 줄을 늘여놓고 그 위에서 갖가지 재주를 부린 데서 비롯된 것이다.

고려속요(高麗俗謠)「청산별곡(靑山別曲)」에 “사슴이 짐대예 올아셔 해금(奚琴)을 혀거늘 드로라.”의 시구(詩句)를 보면 이 솟대쟁이는 사슴의 탈을 썼던 것으로 보이며, 솟대놀이가 예로부터 전승되어온 산악백희의 하나임을 알게 된다.

솟대쟁이패는 단지 솟대놀이만을 일삼는 것이 아니라, 남사당패(男寺堂牌)에서 연출하던 풍물[농악]·버나[대접돌리기]·죽방울받기 등을 아울러 연희하던 직업적 곡예단이었다. 솟대쟁이패는 그 본거지인 경남도 진주를 중심으로 전국을 유랑하며 공연하던 패거리였으나, 1930년대 이후 사라져 버렸다.

참고문헌

『한국연극사』(이두현, 학연사, 1985)
『민속극의 무대공간』(심우성, 공간 79, 1973)
「솟대타기의 역사적 전개와 연희양상」(신근영,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