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학자, 이태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5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생존한 학자, 이태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55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55년 곽종성(郭鍾成)이 편집·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곽종성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11권 6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계명대학교 도서관, 경상대학교 도서관, 동아대학교 한림도서관, 성균관대학교 존경각, 원광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2에 시·만사 520수, 권3∼5에 서(書) 126편, 권6에 잡저 18편, 권7에 기(記) 16편, 권8에 발(跋) 9편, 후서(後敍) 14편, 명(銘) 12편, 잠(箴)·혼계(昏啓) 각 2편, 사(辭) 3편, 고유문 9편, 송(頌) 3편, 권9에 축문 4편, 제문 25편, 애사 5편, 비(碑)·비음기(碑陰記) 각 7편, 권10에 묘지명 14편, 묘갈명 23편, 권11에 묘표 11편, 행장 7편, 유사 1편, 기 3편과 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 가운데 「여곽대연(與郭大淵)」은 항일 운동 연락의 비밀 임무에 관해 은밀히 협의한 내용이다. 또한 「상면우곽선생(上俛宇郭先生)」은 스승인 곽종석(郭鍾錫)에게 학문에 대해 질의한 것으로, 본연기질(本然氣質)·선악·심성(心性) 등 성리학의 기본적인 문제를 언급하였다.

「선악설(善惡說)」은 선과 악의 구분, 선악이 일어나는 기점, 사단칠정과 선악과의 관계 등 성리와 심성 전반에 대해 폭넓게 설명한 것이다. 「무산서당강석발문(武山書堂講席發問)」은 무산서당에서 열린 강의에서 『중용』과 『대학』에 대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질의·응답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다. 후학의 『중용』·『대학』 연구에 자료가 된다.

「각지풍토담(各地風土談)」은 각 지역의 토지와 풍속에 얽힌 담화와 전설을 모아 기록한 것이다. 「홍범경용왕사도(洪範敬用王事圖)」는 『홍범 洪範』에 나오는 팔정(八政)을 국가의 정치에 잘 활용하면 태평 정치를 이룩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요순(堯舜)과 문무(文武)의 정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다.

이 밖에도 곽종석의 언행을 기록한 「면우선생언행약기(俛宇先生言行略記)」와 일가친척은 모두 한 뿌리에서 생겼다고 한 「종지설(宗支說)」 등이 있다.

집필자
이원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