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실대학교 ()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단체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이칭
이칭
숭실대
정의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연원 및 변천

숭실대학교는 1897년 10월 10일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배위량(裵緯良, W. M. Baird)이 평안남도 평양 신양리에 있던 자택에서 13명의 학생을 데리고 학당을 개설한 것이 그 시초이다. 1901년에 선교사 소안론(蘇安論)의 기금으로 한식 기와로 된 2층 교사를 신축하여 이전하고, 당시 한문 교사였던 박자중(朴子重)에 의해 숭실학당(崇實學堂)으로 명명되었다.

그 뒤 교육열의 고조로 고등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1906년 10월 대학부를 설치하고 중학부는 숭실중학교, 대학부는 숭실대학이라 명하였다. 한국 대학교육의 효시가 되었다. 1906년 감리교 선교부가 대학 운영에 참가하면서 합성숭실대학(Union Christian College)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2명의 학생이 입학하여 1908년 대학부 제1회 졸업생 2명을 배출하였고, 1910년에는 재학생 수가 54명으로 증가되었다.

1912년 숭실대학으로 조선총독부의 정식 인가를 받았으며 1925년 일제의 「전문학교규칙」에 의하여 4년제 문과만으로 편성된 숭실전문학교로 개편되었다.

1930년대 중반부터 계속된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함에 따라 평양의 숭실전문학교·숭실중학교·숭의고등여학교 등 3숭(崇)의 학교가 폐교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이에 사회 각계에서 이들 학교의 존속을 위하여 노력하였으나 무산되어, 1938년 3월 마지막 졸업생 443명을 배출하고 숭실중학교 및 숭의고등여학교와 함께 자진 폐교하였다.

그 뒤 광복과 함께 졸업생을 중심으로 학교의 재건을 추진, 1953년 12월 숭실대학 재건 기성회가 결성된 데 이어 숭실대학재단 이사회가 조직되어 1954년 4월 설립인가를 받고 이듬해 5월 10일 영락교회의 부속건물을 임시교사로 해서 폐교된 지 16년 만에 다시 개교하였다.

초대 학장에 한경직(韓景職)이 취임하였으며, 영어영문학과·철학과·사학과·법학과·경제학과 등 5개 학과를 설치하였다. 1957년 6월서울시 동작구 상도동 현재의 위치에 교사를 신축하여 이전하고, 1959년 경영학과, 1960년 기독교교육학과, 1961년 농촌사회학과를 신설하였다.

1965년 농촌사회학과를 폐지하고 농학과를 신설하였으며, 1968년 공학부를 개설하여 화학공학과·유공학과를 신설하였다. 이듬해에 전자공학과·전기공학과·기계공학과·무역학과를 신설하고, 기독교교육학과를 폐지하였다. 1970년에는 문리학부에 전자계산학과를 신설하고 농학과 대신 사회사업학과를 신설하였다.

미국 남장로교 선교부가 1956년에 설립한 대전대학(大田大學)과 1971년 1월 통합하여 숭전대학(崇田大學)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같은 해 12월 종합대학교인 숭실대학교로 개편하여 초대 총장에 김형남(金瀅楠)이 취임하였으며, 문리대학·법경대학·공과대학과·야간대학에 총 21개학과를 설치하였다.

1972년 1월 대학원 석사과정과 1974년 대학원 박사과정을 설치하고, 1979년 대전캠퍼스에 지역개발대학원, 1980년 서울캠퍼스에 산업대학원을 신설하였다. 1983년 3월 대전캠퍼스가 한남대학(漢南大學)으로 독립하였고, 1983년 9월 문리과대학을 인문대학과 자연과학대학으로, 법경대학을 법과대학·사회과학대학·경상대학으로 분리하고 중소기업대학원을 신설하였다.

1986년 11월 교명을 숭실대학교로 환원하고, 1987년 정보과학대학원, 1988년 노사관계대학원을 신설하였다. 1991년 사회봉사관 및 생활관을 준공하고, 정보통신공학과·소프트웨어공학과·인공지능학과·회계학과(야간)와 정책과학대학원을 신설하였다.

1992년 사회교육원이 설치인가 되었고, 중어중문학과·영어영문학과(야간)·정보통신공학과를 신설하였다. 1994년 컴퓨터통신학과·일본학과(야간)·무역학과(야간)·중소기업학과(야간)·섬유공학과(야간)·산업공학과(야간)를 신설하였다.

1995년 전자계산학과·소프트웨어공학부·인공지능학과·컴퓨터통신학과를 컴퓨터학부로 통합하고, 1996년 정보과학대학원·교육대학원·국제통상대학원을 신설하였다. 1997년 10월 개교 100주년을 맞아 다양한 축하행사를 거행하였다. 같은 해 기독대학원을 신설하고, 2004년 산학협력단을 부설하였다.

기능과 역할

교명인 ‘숭실’은 ‘실(實)’을 숭상한다는 뜻으로, 진리의 탐구와 인격수련을 함께 완성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고 있다. 기독교정신과 민주교육의 근본이념에 입각하여 심오한 학술적 이론과 그 응용방법을 가르쳐 인류의 번영과 국가, 사회 및 교회에 봉사할 지도자적 인재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재정의 안정적 조달, 21세기형 천단복합 캠퍼스 구축, 연구 진작과 교수의 역할 재정립, 대학의 특성화 등을 발전전략으로 삼아 교육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국제교류로 미국 오클라호마대학교(The University of Oklahoma)·네브래스카대학교(University of Nebraska), 일본 신슈대학교, 중국 텐진사범대학교 등 해외 대학들과 교류협정을 맺고 교환학생제(오클라호마대학교·천진사범대학교 등 13개 대학교), 어학연수, 해외문화 탐방, 학술교류 등을 시행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학생운동에서는 평양 지역 항일운동의 중심이 되어 105인사건, 국민회사건, 3·1운동, 광주학생운동, 신사참배 거부운동 등에서 투철하고 일관된 민족정신을 발휘하였고, 서북지방 인재 교육의 산실 역할을 하였다.

또한, 문화적 암흑기이던 당시에 전도 활동을 비롯하여 음악·체육·문예활동 등에서 선도적 역할을 하였으며, 특히 숭실축구단이 주축이 되어 1929년부터 서울팀과 벌인 경평축구전은 많은 국민을 열광하게 만들었다.

현재 60여 개의 동아리가 활동하고 있고, 운동부로 축구부를 육성하고 있다. 교내 행사로 10월 숭실축전에서는 동문간담회·체육대회·학술활동·예술행사 등이 진행된다.

1912년 창간된 『숭대시보(崇大時報)』는 『숭전타임스』에 이어 『숭실대학신문』으로 제호를 바꾸어 주간으로 발간하고 있고, 영자신문 『The Soong Sil Times』는 1982년 12월 창간되어 계간으로 발간되고 있다. 1987년『숭전대학교 90년사』, 1997년『숭실대학교 100년사』를 간행하였다.

현황

2020년 현재 7개 대학원 9개 단과대학(인문대학, 자연과학대학, 법과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제통상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IT대학, 베어드교양대학)과 14개 학부로 구성이 되어 있다.

부속기관으로는 한국기독교박물관·신문방송국·생활관·경력개발센터.평양숭실재건추진단.사이버교육사업단.AI융합연구원.숭실평화통일연구원이 있으며 부설교육기관으로는 글로벌미래교육원.생활체육지도자연수원.숭실통일리더십연수원이 있으며 부설연구소로는 법학연구소.사회과학연구소.경영연구소.경제통상연구소.갈등해결평화연구소.국민생활체육연구소 등 68개의 연구소가 있다.

2010년 개관한 생활관은 지하 2층, 지상 12층 규모에 수용능력 1,400여 명의 초현대식 기숙사로 1인실, 2인실, 4인실, 게스트하우스 등 다양한 형태의 룸과 편의시설을 제공하고 있다. 1967년 개교 70주년을 맞아 준공된 중앙도서관은 76만여 권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고, 1,900여 석의 열람석을 갖추고 있다.

한국기독교박물관은 1971년 국보로 지정된 정문경, 1986년 국보로 지정된 전 영암 거푸집 일괄, 1986년 보물로 지정된 지구의 등 국가지정문화재를 포함한 약 7,000여 점의 한국민족문화 및 한국기독교 관련 유물과 함께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중국의 낙랑유물 등을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대학연감 2010』(한국대학연감편찬위원회, 2009)
『한국고등교육연구』(김기석, 교육과학사, 2008)
『숭실대학교 100년사』(숭실대학교백년사편찬위원회, 1997)
숭실대학교(www.ssu.ac.kr)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