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오기 ( )

목차
연극
작품
신라 말 최치원(崔致遠)의 절구시(絶句詩) 「향악잡영(鄕樂雜詠)」 5수에서 읊어진 다섯 가지 놀이.
목차
정의
신라 말 최치원(崔致遠)의 절구시(絶句詩) 「향악잡영(鄕樂雜詠)」 5수에서 읊어진 다섯 가지 놀이.
내용

금환(金丸)·월전(月顚)·대면(大面)·속독(束毒)·산예(狻猊) 등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금환은 곡예의 일종으로 여러 개의 금방울(또는 금칠한 공)을 계속 공중으로 던졌다 받는 것이다.

월전은 서역에서 전해진 탈춤의 하나로 추측된다. 대면은 일종의 구나무(驅儺舞)이다. 속독은 중앙아시아의 여러 나라에서 전래한 건무(健舞)의 일종으로 추측된다. 산예는 사자춤이다.

이 오기는 신라의 가무백희(歌舞白戱)의 내용을 가장 구체적으로 보여주며, 신라 말의 이와 같은 향악은 고려의 산대잡극(山臺雜劇)이나 조선조의 나례잡희(儺禮雜戱)의 선행예능(先行藝能)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놀이들을 신라 고유의 악, 즉 ‘향악’이라고 읊었지만, 그 내용으로 보아 중국과 서역에서 전래된 무악(舞樂)과 산악(散樂) 등의 영향을 받은, 삼국악(三國樂)을 집성한 놀이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오기의 유래에 대한 학설은 여러 가지이지만 신라 고유의 놀이가 아니라 외래의 것이요, 특히 서역계통악의 영향을 입은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崔南善·李惠求·李杜鉉).

그러나 “오기가 비록 외래악이라 하더라도 그 본원(本源)의 모습에 변수가 있었을 터이며, 서로 혼합되었을 것”이라는 것이 지적되었고(梁在淵), 또 문헌에 의한 오기와 당희(唐戱) 중의 서량기(西凉伎)에 혼탈대(渾脫隊)가 가미된 것과의 비교연구도 시도된 바 있다.

이 오기는 문헌자료뿐만 아니라 민속적인 자료를 아울러 살펴야 보다 정확한 복원을 기대할 수 있다. 오늘날까지 남아온 민속극, 특히 밤마리의 대광대패와 영남일대 오광대(五廣大)의 연희형태 즉, 그 놀이순서에서 오기는 개별적인 다섯이 아니고 하나로 뭉쳐진 다섯이며, 그 전통이 오광대에까지 연면히 맥이 닿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오기(五伎)』(김재철, 조선연극사, 학예사, 1939)
「예악오종(鄕樂五種)이란 것은 무엇입니까」(최남선, 『조선상식문답』, 동명사, 1947)
「고구려악(高句麗樂)과 서역악(西域樂)」(이혜구, 『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신라오기고(新羅五伎攷)」(이두현, 『서울대학교 인문사회과학논문집』 9, 1959)
「신라오기연구서설(新羅五伎硏究序說)」(양재연, 『도남조윤제박사 회갑기념논문집』, 1964)
「향악잡영(鄕樂雜詠)과 당희(唐戱)와의 비교고석」(김학주, 『아세아연구』 7-2, 1964)
집필자
이두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