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달산 봉수대 ( )

목차
관련 정보
동해 어달산 봉수대
동해 어달산 봉수대
통신
유적
국가유산
강원도 동해시에 있는 고려시대 어달산 정상에 위치한 봉수대.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동해어달산봉수대(東海於達山烽燧臺)
분류
유적건조물/교통통신/통신/봉수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시도기념물(1971년 12월 16일 지정)
소재지
강원 동해시 대진동 산28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도 동해시에 있는 고려시대 어달산 정상에 위치한 봉수대.
내용

봉수는 변경 지역의 긴급한 상황을 중앙 또는 변경의 다른 기지에 신속히 알리려는 군사적인 목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서로 잘 보이는 산봉우리에 봉수대를 설치하고 밤에는 횃불[熢]로, 낮에는 연기[燧]로 신호하였다.

이 봉수대는 해안선으로부터 약 1㎞ 정도 떨어진 어달산(해발 약 200m) 정상에 있는데, 이 일대는 동해안의 해안선이 돌출되어 있는 곳으로 후망(候望)하기 좋은 지형조건을 갖추고 있다.

축조시기는 신라시대부터 있던 자리에 고려 때 다시 축조하였다고도 하고, 임진왜란 때 축조되었다고도 전하여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동해안 지역에는 조선시대 문헌들에 나타나지 않은 봉수대 터가 여러 곳에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늦어도 고려시대에 축조되어 조선 전기까지 활발히 사용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 봉수의 명칭은 『세종실록』「지리지」에 어을달산(於乙達山)으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및 그 이후의 문헌에는 어달산(於達山)으로 나타나며, 북쪽으로는 12.5㎞ 떨어진 강릉시 강동면 심곡리의 오근산(吾斤山)과, 남쪽으로는 14.5㎞ 떨어진 삼척시 교동의 광진산(廣津山)과 연결된다.

이 봉수대들을 포함하는 동해안 노선은 부산 동래(東萊)의 간비도(干飛島)에서 시작되는 간봉노선(間烽路線)과 연결되며, 북으로는 통천(通川) 금란성(金幱成)을 거쳐 회양(淮陽) 소산(所山)에서 함경도 지역으로부터 내려오는 직봉노선(直烽路線)과 연결된다.

또한, 남쪽으로는 영해(寧海) 대소산(大所山)을 거쳐 안동 봉지산(烽枝山)에서 부산 동래의 응봉(應峰) 다대포진(多大浦鎭)으로부터 올라오는 직봉노선과도 연결된다.

이 봉수의 폐지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동해안 지역의 봉수가 대부분 폐지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조선 후기에는 그 기능을 상실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조선 초기까지 왜구가 동해안에 출몰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경계의 필요성에서 유지되었던 것이나 임진왜란 · 정묘호란 · 병자호란을 겪은 후 국방에 대한 관심이 수도와 남북의 변경 지역에 집중되었으며, 동해안에서는 왜구의 출몰 등과 같은 기타의 사변이 거의 없어졌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현재 봉수대는 크기 50㎝ 정도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직경 2m, 높이 1∼1.5m 정도로 둥글게 쌓았는데, 위에 쌓은 돌이 붕괴되어 있는 상태이다.

원래의 형태는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에 토루(土壘)와 봉화대지(烽火臺址)만 겨우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는 점으로 볼 때 중앙에 봉수대를 두고 봉수대 밖으로 석축기단을 둔 뒤에 방화벽으로 사용된 토루를 설치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형식은 고성군 현내면 마차진리의 술산(戌山)봉수 등 동해안 지역에 남아있는 봉수대의 일반적인 모습이다. 1971년 12월 16일 강원도기념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세종실록(世宗實錄)』「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여지도서(輿地圖書)』
『관동지(關東誌)』
『관동읍지(關東邑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한국의 성곽과 봉수』(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 1989)
『강원문화재대관』(강원도, 1993)
『동해시의 역사와 문화유적』(관동대학교박물관, 1996)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조선총독부, 194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