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사치 ()

고대사
인물
초기국가시대 삼한시대 염사(廉斯)의 우거수를 역임한 군장.
이칭
이칭
염사읍(廉斯邑)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염사(廉斯)
주요 관직
우거수(右渠帥)
목차
정의
초기국가시대 삼한시대 염사(廉斯)의 우거수를 역임한 군장.
생애 / 활동사항

생몰년은 알 수 없다.『삼국지(三國志)』위서 동이전 한전 마한조(魏書 東夷傳 韓傳 馬韓條)에 인용된 『위략(魏略)』에는 우거수(右渠帥) 염사치(廉斯鑡)가 왕망(王莽) 지황 연간(地皇年間, 서기 20∼23)에 낙랑군(樂浪郡)에 귀화한 사실이 보이고 있다. 염사치설화는 한대 낙랑과 삼한의 교섭기사 중 특기(特記)되어 있어 주목된다.

그는 낙랑의 토지가 기름지고 백성이 잘 산다는 말을 듣고 그 곳에 귀화하려고 가던 도중 호래(戶來)라고 하는 한 한인(漢人)을 만났다. 호래는 그보다 3년 전에 재목을 채벌하기 위해 진한(辰韓) 지방에 왔다가 붙잡혀 노예가 된 1,500명의 한인 중 한 사람이었다.

그는 호래를 데리고 낙랑군 함자현(含資縣)에 이르러 한인 나포사실을 보고하였다. 이 후, 한군현 당국에서는 그에게 포로 쇄환(刷還: 외국에서 방랑하는 동포를 데리고 돌아옴)의 임무를 맡겼다.

이에 그는 잠중(岑中)에서 큰 배를 타고 진한에 돌아와 이 문제를 놓고 진한 당국과 협상하였다. 그리하여 생존자 1,000명과 이미 죽은 500명에 대한 배상으로 진한인 1만 5,000명과 모한포(牟韓布) 1만 5,000필을 얻어 낙랑군에 돌아갔다.

그는 이 공로로 관책(冠幘)과 전택(田宅)을 받았으며, 자손 대대로 부역(賦役)과 조세(租稅) 면제의 특권을 받았다고 한다. 한편,『후한서(後漢書)』동이전 한조에는 서기 44년에 염사(廉斯) 사람 소마시(蘇馬諟) 등이 낙랑군에 조공을 바쳐 읍군(邑君)이 되었다는 기사가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당시 낙랑군이 삼한사회에 대해서 경제적 수탈과 병행하여 정치적인 회유책을 쓰고 있던 사실을 보여주는 실례로서 주목되고 있다. 다만, 염사치는 인명이라기보다는 염사지방의 치(鑡), 즉 수장의 뜻으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다. 소마시는 아마도 염사치가 낙랑군에 귀화한 뒤 이 지방의 수장이 된 것으로 짐작된다. 이 염사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지금의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낙동강 하류 가야지방일 것으로 보는 설도 있다.

염사읍(廉斯邑)의 낙랑군에 대한 조공은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섭의 인원과 물자가 적으면 육상교통로를 이용하였고, 대규모 수송일 경우 수로(水路)를 이용하였다. 염사치설화는 진번군(眞番郡)과 임둔군(臨屯郡) 폐지 이후 한(漢)의 중앙통제력이 약화된 결과 삼한과의 교섭 역시 끊어졌다가 이 시기에 다시 재개된 상황도 알려준다. 기원전 1세기 후반부터 기원 후 2세기 전반에 이르는 시기 동안 한제국은 기미지배(羈縻支配)를 기반으로 삼한 지역과 교섭하였다. 이 시기 낙랑군의 호족(豪族)은 삼한 등 토착사회와의 교역 업무에 참여하면서 막대한 부를 축적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삼국지(三國志)』
『후한서(後漢書)』
「삼한(三韓)과 낙랑(樂浪)의 교섭」(윤용구, 『한국고대사연구』34, 2004)
「목지국(目支國)의 위치(位置)와 그 지리(地理)」(이병도, 『한국고대사연구(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博英社), 1976)
「염사치설화고(廉斯鑡說話考)」(정중환, 『대구사학』7·8합집, 197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