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영암사지 쌍사자 석등 ( )

목차
관련 정보
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과 쌍사자 석등 전경
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과 쌍사자 석등 전경
건축
유적
문화재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단면 8각 석등. 보물.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단면 8각 석등. 보물.
내용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2.31m. 금당 앞의 석축 위에 있으며, 석축 바로 앞에는 합천 영암사지 삼층석탑(보물, 1968년 지정)이 서 있다.

석등은 단면이 8각인 신라 석등의 전형적인 양식에서 가운데받침돌인 간주(竿柱)만 사자로 대신한 모습이다. 아래받침돌은 위아래 2단으로 이루어졌다. 제법 높은 8각의 아랫단에는 각 면마다 사자로 보이는 짐승이 1마리씩 웅크린 모습으로 돋을새김되어 있고, 역시 높직한 윗단에도 1장의 꽃잎이 위로 솟은 복련(覆蓮)의 연꽃무늬가 각 면마다 1개씩 돋을새김되었는데, 연꽃잎 안은 또 다른 꽃무늬로 장식되었다.

가운데받침돌은 아래받침돌 윗단과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다. 곧 아래받침돌 윗면에는 각지고 둥근 굄이 있고, 그 위에 8각 기둥 대신 2마리의 사자가 조각되어 있다. 2마리 사자는 가슴을 맞댄 채 마주 선 모습인데, 머리를 위로 들어올리고서 뒷발을 아래받침돌의 윗단 위에 올리고 앞발은 들어서 윗받침돌을 받들었다. 갈기와 꼬리, 몸통의 근육 등은 사실적으로 표현되었지만, 다리에 손상이 많아서 아쉬움을 준다.

윗받침돌은 아래받침돌의 윗단처럼, 꽃잎 속에 또 다른 꽃무늬가 장식된 1장의 꽃잎이 위로 솟은 앙련(仰蓮)의 연꽃무늬가 각 면마다 1개씩 돋을새김된 모습이다.

불을 켜 놓은 부분인 8각의 화사석(火舍石)은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다. 4면에만 길고 네모난 화창(火窓)이 뚫려 있는데, 화창의 주위에는 문을 달았던 흔적인 작은 구멍이 남아 있다. 나머지 4면에는 서 있는 사천왕상(四天王像)이 돋을새김되었다. 지붕돌은 평박(平薄)한 편으로, 처마 밑은 수평이며 추녀 위에는 귀꽃이 붙어 있다.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는 모두 없어졌다.

이 석등은 1933년경에 일본인들이 운반하여 가져가려다가 들켜서 가회면사무소에 보관하였는데, 1959년에 원래의 자리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다리가 손상된 것이나 조각이 쓸려 닳은 것은 이때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국보, 1962년 지정)에 견줄 수 있는 뛰어난 모습의 석등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석등』(박경식, 학연문화사, 2013)
『한국의 탐구』한국의 석조미술(정영호, 서울대출판부, 1998)
『한국 석등 양식』(정명호, 민족문화사, 1994)
『문화재대관』보물4(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합천영암사지』Ⅰ(동아대학교박물관 편, 동아대학교박물관, 1985)
『한국의 미』15 석등·부도·비(정영호 감수, 중앙일보사, 1983)
「한국의 석등」(진홍섭,『문화재』2, 문화재관리국, 1966)
「합천 영암사지와 그 유물」(박경원,『고고미술』15, 고고미술동인회, 1961)
집필자
진홍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