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 )

목차
관련 정보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서예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무릉도원면 흥녕사터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승려 징효대사의 탑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寧越 興寧寺址 澄曉大師塔碑)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77년 08월 22일 지정)
소재지
강원 영월군 수주면 무릉법흥로 1352 (법흥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무릉도원면 흥녕사터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승려 징효대사의 탑비.
내용

1977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신 높이 2.77m, 너비 1.14m. 944년(혜종 1)에 건립된 이 비의 형식은 귀부(龜趺) 위에 비신을 세우고 그 위에 이수(螭首)로 덮은, 신라 · 고려의 전형적인 석비이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는데, 비신 일부에 약간의 손상이 있을 뿐 완전한 형태로 남아 보존상태가 매우 좋다. 자경은 2.5㎝로 최언위(崔彦撝)가 지은 내용을 최윤(崔潤)이 쓰고 전액도 하였으며, 각자는 최환규(崔奐規)가 맡았다.

통일신라의 국사인 징효(澄曉)의 휘는 절중(折中)이고 휴암(鵂嵓, 현재의 황해도 봉산군) 사람이다. 자와 속성은 비문의 마멸로 알 수 없다. 이밖에도 비문에는 징효의 가계, 826년(흥덕왕 1)에 진전법사(珍傳法師)를 사사하고 19세에 장곡사(長谷寺)에서 구족계를 받아 탁월한 총명으로 수행하고 교화한 것, 75세 때인 901년(효공왕 5)에 입좌하여 입멸하였음을 기록하였다. 또 효공왕이 징효대사와 보인(寶印)이라는 탑명을 증시(贈諡)한 것 등을 적고, 말미에 대사의 공덕을 기리는 명문을 새겼다.

이 비는 통일신라의 징효대사를 기리는 탑비이지만 국가가 바뀌는 어지러움 때문에 이미 지었던 것을 나중에 새겨서 세운 것으로 추측된다. 글씨는 통일신라와 고려 초에 유행한 초당의 필법으로 구양순풍(歐陽詢風)으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6-보물 4-(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한국금석총목』(장충식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84)
『한국의 미』15-석등·부도·비-(임창순 감수, 중앙일보사, 1983)
『한국서화인명사서』(김영윤, 예술춘추사, 1959)
『朝鮮金石總覽』上(京城 : 朝鮮總督府, 1919)
집필자
선주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