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대기 ()

목차
관련 정보
용대기
용대기
민속·인류
유물
국가유산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형산리 구수동 마을에 보존되어 전해지는 농기.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용대기(龍大旗)
분류
유물/과학기술/놀이유희용구/놀이기구
지정기관
충청남도
종목
충청남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82년 08월 03일 지정)
소재지
충남 홍성군 결성면 형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형산리 구수동 마을에 보존되어 전해지는 농기.
내용

1982년 충청남도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가로 3.2m, 세로 2.1m. 형산리에 속한 원형산ㆍ구수동ㆍ주교에 본디 각각 용대기, 즉 농기가 있었으나 가장 오래된 원형산 마을의 농기는 6ㆍ25 때 분실되어 현재 구수동과 주교에만 남아 있다.

주교에 보관된 것은 깃폭에 ‘광서(光緖) 17년’이라 씌어 있어 1891년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고, 구수동의 것은 ‘갑신(甲申)’이라고만 씌어 있는데, 이는 깃폭의 낡은 정도로 보아 1824년으로 추정된다.

본디 용기 또는 용대기라 불리는 농기는 대개 어느 마을에나 있어온 것이지만 구수동의 농기는 특별히 오래 된 것이어서 민속자료로 지정되었다.

깃폭에는 ㄹ자 모양의 한 마리 용이 그려져 있고, 깃폭 주위에는 검은 천으로 지네발이 붙어 있으며, 그 외 외형상의 뚜렷한 특이점은 별로 없다. 지금은 천이 낡고 색이 바래 사용을 하지 않고 보존만 하고 있으며, 필요시 모조품으로 대용하고 있다.

오래된 용대기가 잘 보존되어온 것처럼, 형산리에는 풍장과 농기가 중심이 된 행사도 많아 정월보름 당산제, 두레풍장 논맬 때, 백중 무렵의 호미걸이 풍장(풍물) 등의 마을 행사 때에는 의례 농기가 앞세워지고 기에 잔을 올리는 절차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2월 초하루는 농사가 시작되는 날이라 하여, 역시 마을의 큰 마당에서 용대기를 세워놓고 술잔을 올린 뒤(술을 잔에 따라 깃대 밑에 부움) 풍물을 치며 놀았다.

이 마을에서 농기가 이처럼 오래 보존된 데에는 마을 공동체놀이가 잦았던 것도 한 이유라 할 수 있다. 형산리는 이 용대기의 의의를 살려 1981년 용대기놀이를 전국민속경연대회에 출품하여 문공부장관상을 받았다. 그리고 1982년에는 민속자료로 지정되었으며, 같은 해에 용대기보존회가 결성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13(문화재관리국, 198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