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영 ()

목차
정치
인물
일제강점기 때, 조선청년총동맹 상무위원, 조선공산당 정치부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해방 이후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대표단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 · 관료 · 독립운동가.
이칭
이칭
이청농(李靑儂), 청인농(靑人農)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9년(고종 26)
사망 연도
1960년
출생지
함경남도 북청군
관련 사건
3·1운동|조선공산당|북청적색농민조합 사건|남북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연석회의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때, 조선청년총동맹 상무위원, 조선공산당 정치부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해방 이후 북한에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대표단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 · 관료 · 독립운동가.
내용

1889년 4월 1일 함경남도 북청군 출생으로, 이칭은 이청농(李靑儂), 청인농(靑人農)이다. 경성의 사립 오성학교(五星學校)를 졸업한 뒤 중국 상해(上海)로 건너가 남경(南京)의 강녕제일실업학교(江寧第一實業學校)를 졸업했다. 재학 중 조선광복회(朝鮮光復會) 결성에 참여했고, 1913년 봉천성(奉天城) 유하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의 경학사(耕學社) 산하 무관학교인 신흥강습소(新興講習所)를 졸업했다. 이후 통화현(通化縣) 동화학교(東華學校) 교사로 근무하다가 1917년 대황구(大荒區) 북일중학(北一中學)으로 옮겨 영어교사로 근무했다.

귀국 후 1920년 12월 조선청년회연합회 창립대회에서 재무부 상무위원으로 선임되었으며, 1921년 1월 서울청년회 결성에 참여했다. 1922년 2월 사상단체인 신인동맹회(新人同盟會), 3월 무산자동맹회(無産者同盟會)를 결성했으며, 10월 고려공산청년회 제3차 중앙총국 책임비서가 되었다. 1923년 2월 전조선청년당대회 준비위원, 4월 잡지 『청년당(靑年黨)』 발기인으로 참여했으며, 9월 ‘국제청년데이 기념사건’으로 다시 검거되어 출판법 위반으로 처벌받았다.

1923년 2월 고려공산동맹 결성에 참여하였다. 1924년 4월 조선청년총동맹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6월 조선사회주의운동의 통일을 위해 개최된 13인회(十三人會)에 ‘서울파’ 대표로 참석했다. 그해 10월 고려공산동맹 선전통신부장, 12월 사회주의자동맹 집행위원이 되었다. 1925년 8월 경기도청년연합회 발기준비위원, 10월 사상단체 전진회(前進會) 검사위원, 1926년 4월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 창립준비위원, 5월 고려공산동맹 책임비서가 되었다. 그해 8월에는 일본 국수주의자들이 주관한 아시아민족대회에 반대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1927년 4월경 조선공산당에 입당해 12월 조선공산당 제3차 대회에서 책임비서 겸 정치부장이 되었다. 일제의 조선공산당 탄압으로 1928년 6월 검거되어 평양지방법원에서 징역 4년형을 선고받고, 1932년 말까지 평양형무소에서 복역했다.

출옥 후 1933년 1월 ‘북청적색농민조합 사건’에 연루되어 다시 검거되었다. 1935년경 『동아일보』 경성지국(鏡城支局)을 운영했으며, 전시체제 하에서는 지하비밀조직인 스탈린단(團)을 결성하고, 영등포 일대에서 소규모 노동자 모임을 조직했다. 해방 직전인 1945년 7월 최원택(崔元澤) 등과 함께 조선공산당 재건을 준비하다가 일본 경찰에 검거되었다.

1945년 해방 직후 조선공산당(장안파) 결성에 참여했고, 9월 6일 전국인민대표자대회에서 조선인민공화국 중앙인민위원회 고문이 되었다. 그해 11월 박헌영이 중심이 된 조선공산당(재건파)에 합류했으며, 1946년 2월 민족통일전선조직인 민주주의민족전선 상임위원이 되었다. 그해 8월 미군정 경찰에 체포되었다.

1946년 11월 여운형(呂運亨) 등이 중심이 된 사회노동당 임시중앙위원에 선임되었으나, 1947년 1월 자기비판을 하고 탈당했다. 1947년 5월 여운형이 중심이 된 근로인민당 결성에 참여하여 부위원장이 되었고, 1948년 4월 평양에서 개최된 ‘남북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연석회의’에 근로인민당을 대표하여 참석했다.

1948년 8월 해주에서 개최된 남조선인민대표자대회에서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9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위원회와 법제위원회 위원, 1949년 6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회 상무위원 및 의장, 1953년 12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의장이 되었다.

1956년 9월 최고인민회의 대표단장으로서 소련을 방문했다. 1957년 12월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원회 상무위원 및 의장으로 재선되었으며, 1959년 해임되었다. 1960년 8월 13일 사망했으며, 북한의 애국열사릉에 묻혔다.

참고문헌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강만길·성대경, 창작과비평사, 1996)
『한국공산주의운동사』3 (김창순·김준엽, 청계연구소, 1986)
『조선중앙연감』(조선중앙통신사, 1949∼1960, 평양)
『조선연감』(조선통신사, 1947·1948)
집필자
변은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