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오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검교사도 수사공 판형부사, 문하시랑동평장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이칭
금강거사(金剛居士)
시호
문량(文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042년(정종 8)
사망 연도
1110년(예종 5)
본관
인주(仁州, 지금의 인천시)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검교사도수사공판형부사(檢校司徒守司空判刑部事)|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同平章事)|문덕전태학사판상서예부사수국사(文德殿太學士判尙書禮部事修國史)
정의
고려 전기에, 검교사도 수사공 판형부사, 문하시랑동평장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문신.
개설

본관은 인주(仁州)이며, 호는 금강거사(金剛居士)이다. 이한(李翰)의 손자이며, 이자상(李子祥)의 아들이다. 문과에 급제하여 직한림원(直翰林院)이 된 뒤 문종·순종·선종·헌종·숙종·예종 등 여섯 왕을 모셨다.

생애 및 활동사항

1091년(선종 8) 3월 예부낭중으로 국가시를 주관하였으며, 1096년(숙종 1) 6월 직문하성(直門下省), 1097년 3월 예빈경추밀원부사(禮賓卿樞密院副使)가 되었고, 다음해 3월 태자를 세우고 관원을 둘 때 위계정(魏繼廷), 곽상(郭尙) 등과 함께 빈객(賓客)이 되었고, 1099년 2월 예부상서가 되었다. 1100년 4월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로 지공거가 되어 진사를 뽑고 복시를 주관하였다.

1101년 9월 장단 총지사(摠持寺)에서 대각국사(大覺國師: 義天)가 죽자, 정당문학으로서 대각국사의 재주와 행실이 뛰어나고 명망이 높으므로 예를 어겨서라도 복(服)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왕이 소복과 현관(玄冠)을 쓰고 장례를 지내게 하였으며, 12월 참지정사(參知政事) 주국(柱國)이 되었다.

1102년 3월 판상서호부사(判尙書戶部事), 1103년 2월 검교사도 수사공 판형부사(檢校司徒守司空判刑部事), 6월 서경유수사(西京留守使), 9월 중서시랑평장사를 거쳐, 다음해 3월 수사공 상서우복야(守司空尙書右僕射), 7월 중서시랑평장사 판삼사사 태자소보(中書侍郎平章事判三司事太子少保)가 되었다.

1105년(예종 즉위년) 11월 문하시랑동평장사(門下侍郎同平章事)에 제수되었고, 다음해 12월 상주국(上柱國), 1107년 7월에 문덕전태학사 판상서예부사 수국사(文德殿太學士判尙書禮部事修國史)가 되었으며, 1109년 3월에는 다시 지공거가 되어 과거를 주관하였다.

1110년 개부의동삼사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판상서예부 한림원사 수국사상주국(開府儀同三司檢校太師守太保門下侍郎同中書門下平章事判尙書禮部翰林院事修國史上柱 國)에 이르렀으며, 같은 해 7월 세상을 떠났다.

학문에 뛰어나고 불교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특히 『금강경(金剛經)』을 좋아하여 스스로 금강거사라는 호를 지어 불렀다. 시호는 문량(文良)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보한집(補閑集)』
『파한집(破閑集)』
『역옹패설(櫟翁稗說)』
집필자
진성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