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조어사전 ()

목차
관련 정보
이조어사전
이조어사전
언어·문자
문헌
1964년 유창돈이 조선시대 문헌에 한글로 표기된 모든 어휘를 분석 · 풀이하여 편찬한 사전. 고어사전.
목차
정의
1964년 유창돈이 조선시대 문헌에 한글로 표기된 모든 어휘를 분석 · 풀이하여 편찬한 사전. 고어사전.
내용

1964년 연세대학교출판부에서 발행하였다. 조선시대 문헌에 나오는 한글표기의 모든 어휘를 모아 분석하고 풀이하였다. 한 시대의 언어현상을 알려면 그 시대에 쓰이던 어사(語辭)를 모두 수록, 제시해주는 사전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이 사전에는 조선시대 문헌에 기록된 어사를 모두 채록하여 이조어 중 한자표기어는 제외하고 정음표기어(正音表記語)만 실었다. 수록된 표제어는 약 3만 2000여 개이며 문헌제시어(文獻提示語)는 약 6만 1000여 개이다.

어휘 배열은 초성(初聲)은 ㄱ, ㄲ, ㅺ, ㅴ, ㅲ, ㄴ, ㅥ, ㅻ, ㄷ, ㄸ, ㅼ, ㅵ, ㅳ, ㄹ, ㅁ, ㅱ, ㅂ, ㅃ, ㅽ, ㅸ, ㅅ, ㅆ, ㅄ, ㅿ, ㅇ, ㆀ, ㆁ, ㆆ, ㅈ, ㅾ, ㅉ, ㅶ, ㅊ, ㅋ, ㅌ, ㅷ, ㅎ, ㆅ의 순으로 되어 있다.

중성(中聲)은 ·, ㆎ, ㅏ, ㅐ,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ㆉ, ㅜ, ㅝ, ㅞ, ㅟ, ㅠ, ㆌ, ㅡ, ㅢ, ㅣ의 순으로, 종성(終聲)은 ㄱ, ㄳ, ㄴ, ㅧ, ㅨ, ㄵ, ㄶ, ㄷ, ㄹ, ㄺ, ㅪ, ㄻ, ㄼ, ㄽ, ㅬ, ㅀ, ㅁ, ○, ㅯ, ㅰ, ㅂ, ㅄ, ㅅ, ㅺ, ㅼ, ㅿ, ㆁ, ㅈ, ㅊ, ㅋ, ㅌ, ㅍ, ㅎ의 순으로 하였다.

사잇소리 표기어는 평어(平語) 다음에 실었고, 된소리는 평음(平音) 다음에 놓았으며, 예문제시순(例文提示順)은 ㄱ, ㄴ, ㄷ순으로 하였다. ㄱ, ㅎ 첨용(곡용)명사는 ㄱ, ㅎ을 첨미하였고, 원전제시(原典提示)는 대부분 한글로 표기하였다.

인용된 원전은 약 180여 종인데, 이 중 15세기 문헌은 32종, 16세기는 31종, 17세기는 25종, 18세기는 53종, 19세기는 21종, 20세기는 2종, 기타 18종의 문헌으로 되어 있다. 부록으로 이두(吏讀)와 184종의 참고도서약해(參考圖書略解)를 실었다.

참고문헌

『한국논저해제 Ⅰ-언어·문학편-』(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72)
『국어사전편찬론』(조재수, 과학사, 1984)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