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도 ()

목차
관련 정보
장도
장도
의생활
물품
몸에 지니는 자그마한 칼.
목차
정의
몸에 지니는 자그마한 칼.
내용

일상생활에 쓰기도 하고 호신·자해(自害) 및 치레의 구실도 한다. 장도 중 차게 되어 있는 것은 패도(佩刀)라 하고, 주머니 속에 넣는 것은 낭도(囊刀)라 한다. 장도 가운데 큰 것은 전장 5촌, 도신(刀身) 3촌, 작은 것은 전장 3촌, 도신 1.5촌 내외가 되며, 부녀자가 지니던 낭도는 전장 3촌, 도신 1.5촌이 보통이다.

흔히 장식에 따라 갖은장식과 맞배기로 나눈다. 맞배기에는 평맞배기와 을자(乙字)맞배기가 있다. 갖은장식은 장식이 복잡하고, 평맞배기는 단순하며 칼자루와 칼집이 원통형이고, 을자맞배기는 을자꼴로 꾸며져 있다. 이밖에 사모장도는 네모꼴이며, 모잽이장도는 여덟모이다.

여기에 첨사가 따르면 각각 첨사사모장도·첨사모잽이장도로 부르게 된다. 또, 칼을 꾸미는 재료에 따라 금·은·오동(烏銅)·백옥(白玉)·청강석(靑剛石)·호박·대모(玳瑁)·산호·상아·쇠뼈·후단·먹감[黑枾] 등의 이름을 머리에 붙여서 부르기도 하여 백옥장도·대모장도·먹감장도 등으로 부른다. 뿐만 아니라, 장식의 무늬에 따라 안태극장식장도 또는 오동입사장식장도 등으로도 부른다.

장도를 만드는 데 쓰이는 연모는 거도·보래·활비비·물줄이·줄·마치·가위 등이다. 거도는 칼자루와 칼집을 만들 때 자르고 켜는 톱칼이며, 보래는 칼의 모양을 꾸미고 그것을 장식에 맞추는 데 쓰인다. 활비비는 구멍을 뚫고, 물줄이는 손으로 쥐기 어려운 것을 집는 집개이며, 줄은 장식이나 칼날집을 다듬는 데 쓰인다.

이밖에 마치와 가위는 모든 공정에 필요하다. 장도를 만드는 공정은 칼자루 다듬기에서부터 시작된다. 먹감나무나 대추나무 또는 쇠뼈를 자르고 깎아서 토막을 낸 다음, 곱게 다듬어서 칼자루와 칼집에 칼이 들어갈 수 있도록 활비비로 구멍을 뚫는다.

그 다음에 거도로 깎아서 속을 파낸 다음, 칼자루에 도신을 꽂고 자루와 칼집이 맞닿는 곳에 안막이를 하고, 칼이 제자리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주석막이를 한다. 다음이 칼집만들기로서, 이 공정은 칼자루만들기와 같으며, 이렇게 칼자루와 칼집이 마련되면 장식을 끼우게 된다.

장식은 은 또는 백통[白銅]을 늘여서 판으로 만들고, 거기에 무늬를 오리거나 새김질을 하고 때로는 입사(入絲)한 것으로 쓴다. 갖은장식은 칼집의 경우 아래로부터 사발이, 태극을 새긴 원장식의 순으로 두른다. 그리고 칼집과 장식을 죄어붙이기 위한 국화무늬를 놓고, 그 위에 납땜으로 왕막이를 한다.

맞배기의 경우에는 왕막이를 하지 않는다. 왕막이를 하였을 경우에는, 왕막이 밑으로 원장식 등에 메뚜기를 납땜하고 고리를 달고 칼자루에는 도신을 자루에 꽂고 안막이를 한 다음, 도신과 칼자루를 잇는 주석막이를 한다. 이 경우 장식에 쓰이는 백통은 주석 7에 이끼 3의 비율로 합금이 된다.

칼날은 강철을 불에 달구어 망치질과 탄철을 20여 번 거듭하여 칼 모양이 되도록 다진다. 그리고 줄로 다듬어서 칼에 무늬나 문자를 새긴 다음, 또 한번 불에 달구고 물이나 기름에 담갔다가 내어서 칼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묽지 않도록 하여 숯돌로 갈아서 광을 낸다.

이렇게 칼자루와 칼집과 칼과 장식이 만들어지면 꽃자주색·남색 등으로 물을 들인 명주실로 끈목을 짜서 한 줄이 네 가닥이 되도록 하여 고리에 끼게 된다. 이때 고리에 끼이게 되는 끈목 아래위에는 고리매듭을 하여 장도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장도는 남자의 경우 저고리고름이나 허리띠에 장도끈목의 고리를 꿰어서 차고, 여자의 경우에는 치마 속 허리띠에 차거나 노리개의 주체로 삼기도 한다.

참고문헌

『한국금속공예』(진홍섭, 일지사, 1980)
관련 미디어 (5)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