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붕익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한성부윤, 훈련대장,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운거(雲擧)
시호
무숙(武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74년(현종 15)
사망 연도
1735년(영조 11)
본관
인동(仁同)
주요 관직
형조판서
관련 사건
이인좌의 난
정의
조선후기 한성부윤, 훈련대장, 형조판서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운거(雲擧). 할아버지는 교리 장차주(張次周)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99년(숙종 25) 무과에 급제한 뒤 선전관으로 있을 때 소론 김일경(金一鏡) 일파에게 몰려 파직되는 등 일찍부터 노소당쟁(老少黨爭)의 와중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다시 기용되어 경상도좌병사를 거쳤다.

1723년(경종 3) 신임사화 때 김재로(金在魯)·신사철(申思喆) 등과 함께 노론 김창집(金昌集)의 당으로 연루되어 함경도 종성에 유배, 2년 뒤 영조가 즉위하자 풀려 나왔다.

그 뒤 군기시제조(軍器寺提調)·어영대장·훈련대장·형조참판·우포도대장 등을 역임한 뒤, 1727년(영조 3) 훈련대장 재직시 무신으로서 파당(派黨)에 관여했다 하여 일시 파직되었다.

이듬해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한성부좌윤으로서 진어대장(鎭禦大將)에 임명되어 북한산성을 지키며 반란주모자의 한 사람인 평안병사 이사성(李思晟)의 체포에 공을 세웠다.

이어 총융사가 되어 종사관(從事官) 이덕재(李德載)와 함께 수원에 출진, 난군의 일당 이배(李培)를 잡아 포송해 반란군 토벌에 큰 공을 세웠다. 1729년 부사직으로서 과거제(科擧制)의 폐단과 모순을 지적, 상소하였다.

특히 무과 급제자가 수천에 달하나 전혀 임용될 자리가 없다는 것과 시규(試規: 시험 시행상의 규칙) 또한 부실하기 짝이 없다는 점 등을 들어 시정을 촉구하였다.

이 해 한성부판윤에 발탁되고 다시 훈련대장을 거쳐 1734년 형조판서에 올랐다. 이 때 별군직(別軍職) 윤필은(尹弼殷)이 써올린 「전선개조책(戰船改造策)」에 의거, 전선과 거북선의 「개조도(改造圖)」를 새로 작성해 해전의 전술과 해상의 방어대책 강구에 진력하였다. 좌찬성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무숙(武肅)이다.

참고문헌

『경종실록(景宗實錄)』
『경종수정실록(景宗修正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전고대방(典故大方)』
집필자
조원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