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고종 익선관 ( )

목차
관련 정보
전 고종 익선관
전 고종 익선관
의생활
유물
문화재
조선 말기 고종이 썼던 것으로 전해지는 익선관.
정의
조선 말기 고종이 썼던 것으로 전해지는 익선관.
개설

조선 말기 고종이 착용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하여 ‘전(傳)고종익선관’으로 지정된 관모 1점이다. 1979년 1월 26일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현재 세종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왕실 관련 익선관은 이 외에도 청색 · 흑색 · 자적색으로 된 3점의 익선관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영왕의 자적색 익선관(국가민속문화재, 2009년 지정)이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모두 고종의 익선관과 흡사한 형태이다.

내용

모체(帽體)와 양각(兩角)이 모두 자색의 비단으로 싸여진 아주 정교한 익선관으로 높이 18㎝, 지름 17㎝의 크기이다. 모체는 사모와 같이 뒷부분이 높고 앞부분이 낮으며, 관 뒤로는 양각(兩角)이 위로 향하여 솟아 있다. 양각은 가장자리를 쇠철사와 같은 단단한 것으로 형체를 잡아 주었으며 가장자리는 검은색으로 둘러있다. 안쪽에도 자적색 비단을 씌어 주었으며 모체(帽體) 뒤에 양각의 하단(下端)을 끼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받침대가 달려 있다. 모체의 정면 중앙 좌우와 위로는 적색을 띠는 자색의 명주실 다발을 탄탄하게 꼬아 장식하였다. 모체의 내부 골격도 정교하여 모체의 하단은 지름 약 1㎝ 정도의 구멍이 고른 간격으로 뚫어져 있고, 상단은 0.5㎝가 채 못 되는 간격의 죽망(竹網)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모체의 내부 골격에 구멍을 뚫거나 망을 댄 것은 통풍이 잘되게 하여 착용자에게 쾌적감을 주려는 것으로 여겨진다.

의의와 평가

현재 익선관을 제작할 수 있는 기능인을 찾을 수 없으나 실물이 남아 있고 재료가 확인되고 있는 만큼 관심을 가지고 연구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 -중요민속자료 2 복식자수편-』(문화재청, 2006)
『문화재대관(文化財大觀) -중요민속자료편(重要民俗資料篇) 하(下)-』(문화재관리국, 1986)
『조선시대(朝鮮時代) 궁중복식(宮中服飾)』(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6)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