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후원분 ()

목차
관련 정보
영암 태간리 자라봉 고분 전경
영암 태간리 자라봉 고분 전경
고대사
개념
원형의 분구에 방형 혹은 삼각형의 단상부가 합쳐진 모양의 큰 무덤. 장고분 · 장고형 고분.
이칭
이칭
장고분, 장고형 고분
내용 요약

전방후원분은 원형의 분구에 방형 혹은 삼각형의 단상부가 합쳐진 모양의 큰 무덤이다. 형태가 장고와 유사해서 장고분·장고형 고분이라고도 한다. 이 무덤양식은 일본열도 고유의 무덤 형식으로 전방후원분이라는 용어도 일본에서 유래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방후원분은 일본열도의 그것을 수용한 것이며, 한반도의 서남부 전라남도에서 주로 확인된다. 매장시설은 후원부에 설치된 앞트기식 돌방·굴식 돌방이며, 축조 시기는 5세기 후엽부터 6세기 전엽까지의 시기에 국한된다. 이 지역은 한반도 문물이 일본에 전파되는 경로로서 일본 고분 문화의 일부가 자연스럽게 유입된 것이다.

목차
정의
원형의 분구에 방형 혹은 삼각형의 단상부가 합쳐진 모양의 큰 무덤. 장고분 · 장고형 고분.
개설

그 형태가 우리나라의 전통 타악기인 ‘장고’와 비슷하다고 하여 장고분(長鼓墳)이라고도 한다.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이라는 용어는 앞이 모가 지고 뒤가 둥글다고 본 일본 에도〔江戶〕시대의 ‘산릉지(山陵志)’에서 유래하지만, 사실상 전후의 방위 개념과는 무관하다.

우리나라의 전방후원분은 종래 대형 주1〔甕棺墳〕의 분포권과 비슷한 전라남도에서 다수가 발견되었다. 입지는 주로 해안 또는 해안과 가까운 강안지역에서 전망이 좋은 구릉이나 평지이고, 자체의 하위 고분들이 없이 1기 혹은 2기가 독립적으로 분포한다. 매장시설은 후원부(後圓部)에 설치된 앞트기식 돌방〔橫口式石室〕 · 굴식 돌방〔橫穴式石室〕이며, 축조 시기는 5세기 후엽부터 6세기 전엽까지로 한정적 시기에 국한된다.

연원

이 무덤 양식은 과거 일본열도의 고유무덤으로 알려져 있는 만큼 ‘전방후원분’이라는 용어도 일본에서 유래하는 연유가 거기에 있다. 일본 각지에서 보이는 전방후원분은 동일 고분군 안에서도 원형분이나 방형분보다 규모가 더 크다는 점 자체가 상대적으로 위상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의 전방후원분은 3세기부터 7세기까지 비교적 오랜 세월 동안 축조되었고, 분포 수량이나 규모가 장대한 것이 많은 긴끼〔近畿〕지방이 그 중심지라고 할 수 있다. 그 지방의 최대형분인 ‘인덕릉(仁德陵)’부터 중형급에 이르기까지 홋카이도〔北海道〕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한다. 이를 통해 당시 일본의 국가체제를 ‘전방후원분 체제’라고 하는 정치 · 사회적인 의미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 고분의 연원은 일본열도의 재래 분구묘(墳丘墓) 중에서 기원한다는 자생설과 중국 동남부의 전국시대 토돈묘(土墩墓)의 영향설 등이 있다.

내용

우리나라의 전방후원분은 당시 일본열도의 그것을 답습한 것이며, 한반도 서남부인 전라남도에서 주로 확인된다. 외형이 분명한 전방후원분은 영광 월계고분, 함평 장고봉고분 · 신덕1호분 · 표산1호분, 광주 명화동고분 · 월계동1호분 · 월계동2호분, 영암 자라봉고분, 해남 장고산고분 · 용두리고분 등으로 모두 10여 기에 이른다. 이 고분들의 규모는 위치한 단위지역에서 최대급이라고 할 수 있다. 한때 전라북도와 영남의 고분 중에도 전방후원분이 존재할 가능성이 언급되기도 했으나 현재는 그러한 의견을 찾아보기 어렵다. 더구나 가능성이 제기된 고분들 중에는 이후의 발굴조사를 통해 그렇지 않았음이 밝혀졌는데, 그 대표적인 고분이 남해안의 고성 송학동1호분으로 원분 3기가 연접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전방후원분으로 확인된 10기는 전방부의 형태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방형에 가깝고 후원부보다 전방부의 높이가 낮은 신덕1호분 · 자라봉고분 · 용두리고분이며 다른 하나는 삼각형에 가깝게 전단면(前端面)이 넓고 후원부와 비슷한 높이인 표산1호분 · 명화동고분 · 장고산고분 · (영광)월계1호분 · (광주)월계동1 · 2호분이다. 장고봉고분만 양자의 중간 형태에 가깝다. 그 중에 영광 월계고분과 함평 표산1호분을 제외하면, 나머지 8기는 발굴 혹은 시굴조사되었는데, 외형과 내부구조로 보아 전자에서 후자로 이행하는 시기적인 추이로 파악되고 있다.

한국의 전방후원분에서는 분정부(墳頂部)의 평탄면이나 주2이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분구의 측면부에 단면(段面)이 조성된 이른바 단축식(段築式)과 사면(斜面)에 돌들을 입힌 이른바 즙석(葺石)은 신덕고분에서 확인되었고, 용두리고분에서는 단축 여부가 파악되지 않으나 즙석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위의 두 고분의 분구 주변을 따라 구덩이를 판 주구(周溝: 혹은 물이 고인상태인 경우는 주호(周濠)라고도 함)는 군데군데 연결되지 않은 단절형인데 비해서 명화동고분과 월계동1 · 2호분에는 방패모양〔楯形〕의 너른 주구가 확인된다. 한편 장고봉고분 · 명화동고분 · 월계동1 · 2호분의 분구 상부 혹은 분주(墳周)에서는 원통형 토기가 출토되었다.

매장시설의 위치는 지표 아래를 굴광한 묘광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성토한 분구의 상부에 있다. 굴식 돌방을 갖춘 고분은 장고봉고분 1기뿐이고 나머지 고분들은 모두 묘도에 석벽을 갖춘 앞트기식 돌방이다. 한편 자라봉고분은 구덩식으로 발굴보고되었으나 평면 형태와 벽체 등 구조 부위별 상태를 통해 앞트기식일 가능성이 고려되고 있다. 입구부 혹은 연도(羨道: 복도와 같이 측벽과 천정이 있는 통로)는 모두 전벽(前壁)의 중앙으로 되어 있는 공통점을 보인다.

돌방 내부의 구조 부위에서 관찰된 뚜렷한 특색은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문틀구조는 없으나 판석을 전벽 양측에 마주 세워 축조한 것〔門柱狀板石〕이 신덕고분 · 용두리고분 · 월계동1호분이다. 둘째, 전벽이 후벽보다 좁고 높이가 낮은공간형태〔羽子板形〕를 지닌 고분은 신덕고분 · 장고봉고분 · 용두리고분이다. 셋째, 신덕고분 · 장고분고분 · 용두리고분은 벽체 하위에 판석을 세워 축조한 이른바 요석(要石)을 구비하였다. 넷째, 신덕고분은 석실의 길이 방향에 맞추어 네 면에 판석을 세워 받친 널받침〔棺臺〕이 있고, 월계동1호분은 아예 가옥모양의 돌널〔石屋形石棺〕을 횡으로 둔 이례적인 안치시설을 갖추었다. 다섯째, 신덕고분과 장고봉고분은 돌방 천정면과 벽면에 붉은 안료가 도포되어 있으며, 특히 후자에는 백회로 미장한 다음에 붉은 안료가 도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우리나라에서 확인되거나 발굴조사된 전방후원분의 외형과 내부구조, 특히 방패형 주구는 당시 일본열도 전방후원분에서 유행하던 것과 유사하며, 원통형토기도 하니와〔埴輪〕로 불리는 일본 고유의 토기형태 중의 하나라는 점에서 이른바 왜계(倭系)고분의 요소가 다분하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돌방의 경우 북큐슈〔北九州〕에서 서일본은 물론 나중에는 동일본까지 파급되었던 소위 북큐슈형〔北九州型〕의 축조 요소라는 점을 고려하면, 전라남도지역의 전방후원분은 북큐슈 고분양식을 자체적으로 답습한 묘제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집단을 의미하는 하위 고분군을 형성하지 않은 전방후원분의 출토유물은 대다수가 전라남도 지역의 산물이다. 삼국시대 고분군에서 보이는 현상과 판이한 이런 점들은 피장자가 그 지역에 살았던 토착 유력자임을 시사한다. 따라서 국제적인 새로운 묘제의 파급시기에 전라남도 해안지역의 일부 토착 유력자들은 이미 그 이전에 한반도의 중부지방에서 연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북큐슈 돌방의 발전형과 일본 고유의 전방후원형 봉분을 도입했음을 의미한다. 당시 전라남도 해안지역은 지리적으로도 극동아시아 물류의 중요 거점지대로 보인다. 즉, 중국대륙의 연안지역에서 한반도 서 · 남해안을 거쳐 일본 북큐슈 연안에 이르고 거기서 다시 일본열도 각지로 통한다. 따라서 한반도와 일본열도 사이에 물류와 거기에 수반된 문화 흐름의 가장 중요한 거점지역 중의 하나가 서 · 남해안을 가르는 영산강 하구 중심의 전라남도의 해안지역이고, 다른 하나가 남해안에서 바다 건너 일본열도의 입구인 북큐슈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마치 아프리카 남단의 희망봉 일대와 유사한 지리적 환경을 지녔다고 볼 수 있다.

주지하듯이 주로 이 해로를 통해 한반도의 문물이 일본에 전파되어 일본 고대문화 형성과 발전에 중요한 토대를 이루었다. 그러나 국제적 문물 교류라는 관점에서 볼 때, 일본의 고분문화도 어느 정도 한반도로 유입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하겠다. 남해안지역에서 간헐적으로 보이는 일본 야요이〔彌生〕유적도 그 중의 하나이다.

전방후원분은 당시 한반도 남부와 일본 북큐슈 사이의 고분문화 교류 차원과 더불어 종래 독특하게 독널 고총을 축조했던 것처럼 전라남도지역의 국제적인 개방성을 이해하는데 귀중한 국제적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반도의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강인구, 『삼국시대분구묘연구(三國時代墳丘墓硏究)』, 영남대학교출판부, 1984)
『무기산(舞妓山)과 장고산(長鼓山)』(강인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의 起源에 관한 연구」(강인구, 『고대한일문화교류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동아시아의 전방후원형(前方後圓形) 분구(墳丘)의 분포에 대하여」(강인구, 『허선도교수정년퇴임기념한국사학논총』, 1992)
『韓國の前方後圓墳-松鶴洞一號墳問題について-』(森浩一 編, 社會思想社, 1984)
주석
주1

시체를 큰 독이나 항아리 따위의 토기에 넣어 묻는 무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인 무덤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청동기 시대부터 쓰여 지금까지도 일부 섬 지방에서 쓰이는데, 하나의 토기만을 이용하기도 하고 두 개 또는 세 개를 이용하기도 한다.    우리말샘

주2

집터 또는 무덤의 바닥이나 둘레에 한두 겹 얇게 깐 돌.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