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태용 ()

정태용(1919-1972)
정태용(1919-1972)
현대문학
인물
해방 이후 「문학의 대중성」, 「현대시인연구」 등을 저술한 평론가.
이칭
이칭
태(泰), 태용(泰鎔)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9년
사망 연도
1972년
본관
해주
출생지
경상남도 진주
정의
해방 이후 「문학의 대중성」, 「현대시인연구」 등을 저술한 평론가.
개설

본명은 정태(鄭泰). 일명 태용(泰鎔). 본관은 해주(海州). 경상남도 진양(지금의 진주)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진주농업고등학교를 거쳐, 1943년 현 동국대학교의 전신인 혜화전문학교 불교과를 졸업하였다.

일제강점기 말에 진양 군청에서 서기로 근무한 바 있고, 한국전쟁 때는 부산으로 피난하여 교사·신문기자 등을 지냈다. 그 뒤 1956년 상경하여 동국대학교신문사 주간을 지내기도 하였다.

진주농업고등학교 재학시절부터 조연현(趙演鉉)과 가까이 사귀어 함께 ‘시림(詩林)’ 동인으로 참여하여, 1939년 『시림』 창간호에 시 「무등(無燈)의 터널」과 「요렇게 사는 마음은 어디서 왔느뇨?」(시림, 3호) 등을 발표하면서부터 본격적인 문단 활동을 전개하였다.

평론 활동은 광복 후 조연현이 주재한 『예술부락(藝術部落)』지의 동인이 되어 「문학의 대중성」을 발표하면서부터 비롯되었다. 1957년 3월부터 1958년 1월까지 『현대문학(現代文學)』지에 「현대시인연구」를 연재하여 최남선(崔南善)을 비롯한 주요 시인들의 작품세계를 조명하였다.

그 뒤 1970년대에 이 작업을 재개하여 총 30여 편에 달하는 시인론을 쓰기도 하였다. 6·25 전까지의 비평은 문학의 사회성을 강조하는 편이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인생론적 의의를 추구하는 쪽으로 기울어졌다.

그리하여 관념보다는 직관, 체계적 이론보다는 온건한 상식을 비평의 기조로 삼았으며, 비평이란 본질적으로 시나 소설과 같은 창작이며 그 창작은 또한 비평 행위라고 규정하였다.

다만, 전자는 논리로 비평하는 데 반하여 후자는 형상(形象)으로 비평하는 차이가 있을 뿐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비평은 이와 같은 논리성 때문에 입법 행위로 이어지는 문학의 학문화를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시에 관하여는 감동의 질서화가 시의 본질이라 말하고, 그 방법론으로서 심상(心象)의 중시와 난해성의 극복이 요청된다고 주장하였다. 이 밖에도 소설 및 문학 일반에 관하여 약 20년간에 다수의 평론을 써왔으나 생전에는 저서를 간행하지 못하였고, 죽은 뒤 조연현의 주선으로 『한국현대시인연구·기타』(1976)가 나오게 되었다.

참고문헌

「유명을 달리한 정태용형」(조연현, 『월간문학』, 1972.2.)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