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천설 ()

목차
관련 정보
천문략 / 십이중천도
천문략 / 십이중천도
과학기술
개념
하늘이 여러 겹으로 되어 있다는 조선시대의 우주관.
목차
정의
하늘이 여러 겹으로 되어 있다는 조선시대의 우주관.
내용

이 중천설은 구중천설(九重天說)과 십이중천설(十二重天說)이 있었다. 구중천이라는 말은 동양에도 이미 있었는데, 예를 들면 굴원(屈原)의 ≪천문 天問≫이라는 책에도 나온다.

그러나 구중천설이 우리나라에 널리 인정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서양문물이 들어온 뒤부터이다. 마테오 리치(Matteo Ricci)가 지은 ≪천주실의 天主實義≫에 이미 월륜천(月輪天)·수성천(水星天)·금성천(金星天)·일륜천(日輪天)·화성천(火星天)·목성천(木星天)·토성천(土星天)·수상천(宿象天)·종동천(宗動天)의 구중천이 소개되어 있다.

이것이 중국에 소개되었고, 다시 우리나라 학자들에게 서서히 받아들여지게 된 것이다. 18세기 초반에 쓴 이익(李瀷)의 글에 구중천설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다가 좀더 정밀한 천체운동의 계산을 위하여 십이중천설이 대두되었다.

이익의 ≪성호사설≫에 의하면, 십이중천은 구중천에다 동서세차천(東西歲差天)·남북세차천(南北歲差天)을 종동천의 내부에 더하여주고, 종동천 밖에는 영정부동천(永靜不動天)을 더하여준 것이다.

이렇게 달·행성·해, 그리고 항성이 모두 서로 다른 하늘에 위치하고 있다는 우주관은 그 때까지의 전통적 우주관이었던 혼천설(渾天說)과 대체되기 시작하여 18세기 초 영조대까지는 조선조의 공인된 우주관이 되었다.

그리하여 ≪증보문헌비고≫의 상위고에는 천지에 대하여 마테오 리치에 의하여 발전된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십이중천설’을 기술하기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성호사설』
『증보문헌비고』
「이익의 서양과학수용」(박성래, 『동원김흥배박사고희기념논문집』,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198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은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