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곡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
정의
조선 중종 때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경기체가.
구성 및 형식

전 5장. 1541년(중종 36)에서 1544년 사이에 지어진 것으로 1544년 작자가 편찬한 『죽계지(竹溪誌)』에 수록되었고, 그의 문집인 『무릉잡고(武陵雜稿)』(別集 권8)에도 실려 있다. 내용은 태평성세를 이룩하였던 옛 중국의 성군현신(聖君賢臣)들의 치국과 치민을 찬양하는 것이다.

내용 및 평가

「도동곡(道東曲)」·「엄연곡(儼然曲)」·「육현가(六賢歌)」와 마찬가지로 ‘4·4/4·4/偉……景幾何如’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제1·2·5장에서는 변격의 장형화 양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주세붕은 도(道)의 실천을 통하고 고대의 성세를 후대에도 재현할 수 있다고 믿었는데, 시가는 곧 ‘스스로를 닦고 풍속을 교화하는 방편(修己化俗之方)’으로서의 공리적(功利的)효용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도를 구현함으로써 고대의 이상적인 치세를 재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뜻에서 지어진 것이 그의 경기체가 4편(도동곡·엄연곡·태평곡·육현가)과 시조 14조이다. 따라서 그의 시가들은 오직 교훈적인 내용에만 치중되었을 뿐 서정성이나 예술성은 무시되고 있다.

참고문헌

『대동야승(大東野乘)』
『해동잡록(海東雜錄)』
『무릉잡고(武陵雜稿)』
『죽계지(竹溪誌)』
『고려가요(高麗歌謠)의 연구(硏究)』(이명구, 신아사, 1973)
「경기체가(景幾體歌)의 구조연구(構造硏究)」(성호경, 『국문학연구』 49, 서울대학교국문학연구회, 1980)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