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

현대문학
문헌
국문학자 김윤식이 우리나라 근대문예비평을 역사적으로 체계화하여 1973년에 간행한 학술서.
정의
국문학자 김윤식이 우리나라 근대문예비평을 역사적으로 체계화하여 1973년에 간행한 학술서.
개설

1973년 한얼문고에서 간행하였고, 1976년 일지사(一志社)에서 증보판이 나왔다. 문학에 관한 이론과 그 가치의식 및 실천으로서의 한국 근대비평을 역사적으로 체계화한 저서이다.

모두 3부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제1부는 프로문학 비평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일제 식민지시대 프로 문단의 조직과 그 활동, 이론투쟁 등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특히, 프로 문단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으로 제기된 바 있는 내용형식론·목적의식론·아나키즘론·민족문학론·대중화론·농민문학론·창작방법론·사회주의리얼리즘론·전향론 등이, 그 논쟁의 발단에서부터 그 이론적 확대 과정까지 검토되고 있으며 비평사적 의미가 규정되어 있다. 일본의 프로문학운동과 대비적으로 검토되고 있는 부분이 많아서, 식민지시대 프로문학운동의 한일간의 관계 양상에 대하여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제2부에서는 카프(KAPF :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해산 이후 1940년대까지의 비평의 양상을 검토하고 있다. 프로문학운동이 일제의 사상탄압으로 인하여 더 이상 진전을 보지 못하고, 이데올로기가 내재화하면서 등장하기 시작한 다양한 문학론이 그 대상이 된다.

휴머니즘론·주지주의론·모더니즘론·모럴론·세대론·순수론·신체제론 등의 비평적 쟁점이, 일본 군국주의의 확대 과정 속에서 어떻게 한국 문학의 논리를 지탱하고 있는가를 비판적으로 정리한 점이 주목된다.

제3부에서는 한국 근대비평의 유형적 특성과 그 논리를 점검하고 있다. 시론·소설론·문예학적 연구·작법론 등의 분야가 서로 어떻게 연관을 이루면서 근대비평의 영역을 확보하고 있는가를 보여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의 부록으로 중요 비평목록이 수록되어 있는데, 한국 근대비평의 흐름을 조감하는 데에 긴요한 자료라고 할 것이다. 이 책은 신문학 성립 이후의 비평의 전체적인 흐름을 통괄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지만, 비평사연구의 가능성을 확립한 선구적인 업적으로, 그 실증주의적인 방법의 중요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다.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